이산수학 - 집합, 집합 연산,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대칭차집합, 대수 법칙
1. 기본사항 집합론에서 집합과 원소는 무정의용어이다. 무정의용어란 정의 없이 사용하는 용어를 가리키며,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지금까지 알려진 다른 용어로 정의하기 힘든 대상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S가 집합이라고 할 때, a를 S의 원소이고, b가 S의 원소가 아니라면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a ∈ S, b ∉ S 다음의 항목들이 집합인지 아닌지 판별해보자. 1) { a, b, c} 2) a 3) {{a}, b} 4) { a, b, a, c} 2)는 집합 표시가 없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4는 원소 a가 중복되므로 집합이 아니다. 집합을 서술하기 위해서는 원소나열법과 조건제시법을 사용한다. 1) 원소나열법: S = {1, 2, 3}2) 조건나열법: S = {x | 0 ≤ x 집합의..
2024. 5. 13.
대칭키 암호: 개념, 블록 암호, 파이스텔, SPN, 스트림 암호, DES, AES
1. 대칭키 암호의 개념암호화와 복호화에 하나의 같은 비밀키를 사용하는 암호 방식C = Ek(P)P = Dk(P)이때 E는 암호화 함수, D는 복호화 함수를 의미한다.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대칭키 암호, 비밀키 암호, 단일키 암호, 관용 암호대칭키 암호는 블록암호화 스트림 암호로 나눌 수 있다.먼저 블록 암호부터 살펴보자.2. 블록 암호개념평분을 고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마다 암호화 과정을 수행하여 블록 단위로 암호문을 얻는 대칭키 암호 방식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나의 평문을 4개의 블록으로 나눈뒤, 각 블록을 대칭키 암호 방식으로 각각 암호화한다.여기서는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모든 블록을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각 블록을 다시 연결하면 원래 평문에 대한 암호문이 완성된다.블록 암호 알고리..
202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