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이산수학

이산수학 - 관계, 관계의 표현, 관계의 성질, 관계의 종류, 반사적, 대칭적, 추이적, 동치관계

by Renechoi 2024. 5. 15.

1. 기본사항

관계란 객체들 간의 연관성을 포현하는 구조이다. 

 

이산수학에서 관계는 주로 두 집합에 속하는 서로 다른 두 원소 사이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두 집합 X와 Y에 대하여 곱집합 X x Y의 부분집합 R을 X에서 Y로의 관계라고 말한다. 

 

집합 \(A\)와 \(B\)의 곱집합(Cartesian Product) \(A \times B\)는 \(A\)의 원소와 \(B\)의 원소의 모든 순서쌍(ordered pair)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즉,

\[ A \times B = \{ (a, b) \mid a \in A, b \in B \} \]

 

집합 \( X \)에서 집합 \( Y \)로의 (이항)관계 \( R \)은 \( X \times Y \)의 부분집합이다.

- 이항관계 \( R \)에 대해, \( (x, y) \in R \)이면 \( x \)는 \( y \)와 \( R \)의 관계가 있다.
- 이를 \( xRy \)로 표기할 수 있다.
- 만약 \( X = Y \)이면, \( R \)을 \( X \)에서의 관계라고 한다.

\[ R \subseteq X \times Y \]

\( R \)이 이항관계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 (x, y) \in R \implies xRy \]

그리고, 만약 \( X = Y \)이면, \( R \)은 \( X \)에서의 관계이다.

📌 예시
집합 \( X = \{1, 2\} \), 집합 \( Y = \{a, b\} \)에서 관계 \( R \)을 정의해보자. \( R \subseteq X \times Y \)이고, 다음과 같은 원소를 가질 수 있다.

\[ R = \{(1, a), (2, b)\} \]

이 경우, \( (1, a) \in R \)이므로 \( 1Ra \), \( (2, b) \in R \)이므로 \( 2Rb \)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집합 \( X = \{1, 2\} \)에서의 관계 \( R \)을 정의해보자. 이 경우, \( X = Y \)이므로 \( R \subseteq X \times X \)이다. 다음과 같은 원소를 가질 수 있다.

\[ R = \{(1, 1), (2, 2), (1, 2)\} \]

이 경우, \( (1, 1) \in R \)이므로 \( 1R1 \), \( (2, 2) \in R \)이므로 \( 2R2 \), \( (1, 2) \in R \)이므로 \( 1R2 \)라고 할 수 있다.


\[
\begin{align*}
R &\subseteq X \times Y \\
(x, y) &\in R \implies xRy
\end{align*}
\]

 

2. 관계의 표현

 

1) 화살표 도표 

𝒙 ∈ 𝑿, 𝒚 ∈ 𝒀, (𝒙, 𝒚) ∈ 𝑹

 

 

 

 

📌 예시: 


\[
A = \{ 1, 2, 3, 4 \}, \quad B = \{ -1, 0, 1, 2 \}
\]

(1) \( x, y \in A \times B \) 에 대해, \( x, y \in \mathbb{R} \)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 y > x \) 

 

 

 

 

 

 

 

2) 방향 그래프 

그래프 : 점[꼭지점](vertex)과 선[변](edge)으로 이루어진 도형

-> G = (V, E) 

 

𝒙,𝒚∈𝑿, (𝒙,𝒚)∈𝑹

 

 

 

📌 예시: 관계 T를 방향 그래프로 나타내시오.

 

A = { 1, 2, 3} 
T = { (1,1), (1,2), (2,2), (3,1), (3,2)} 

 

 

 

 

 

 

3) 부울행렬 




\[ X = \{ x_1, x_2, \ldots, x_m \}, \quad (x_i, y_j) \in R \]
\[ Y = \{ y_1, y_2, \ldots, y_n \} \]

이에 따라 \( m \times n \) 부울행렬 \( M_R \)는 다음과 같다.

\[ M_R = [a_{ij}] \]

여기서,

\[ a_{ij} =
\begin{cases}
1 & \text{if } (x_i, y_j) \in R \\
0 & \text{if } (x_i, y_j) \notin R
\end{cases}
\]

 

 

 

📌 예시:

관계 T를 부울행렬로 나타내시오.

𝑨= {𝟏,𝟐,𝟑}
𝑻={(𝟏,𝟏), (𝟏,𝟐), (𝟐,𝟏), (𝟐,𝟐), (𝟑,𝟏), (𝟑,𝟐)}

 

 


\[ M_T =
\begin{pmatrix}
1 & 1 & 0 \\
1 & 1 & 0 \\
1 & 1 & 0
\end{pmatrix}
\]

 

 

 

3. 관계의 성질

 

(1) 성질의 종류 

 

집합 \(A\)에서의 관계 \(R\)이

1. 반사적 (reflexive)
   \[
   \forall a \in A, (a, a) \in R
   \]

2. 대칭적 (symmetric)
   \[
   \forall a, b \in A, (a, b) \in R \Rightarrow (b, a) \in R
   \]

3. 추이적 (transitive)
   \[
   \forall a, b, c \in A, (a, b) \in R \land (b, c) \in R \Rightarrow (a, c) \in R
   \]

 

 

 

(2) 관계의 성질과 부울행렬 

 

 

📌 예시1: 

 

𝑨= {𝟏,𝟐,𝟑,𝟒} 𝑨에서의 관계 𝑹, 𝑺, 𝑻의 성질을 설명하시오.
(1) 𝑹 = { (𝟏, 𝟏), (𝟐, 𝟐), (𝟑, 𝟑) }
(2) 𝑺 = {(𝟏,𝟏), (𝟏,𝟐), (𝟏,𝟑), (𝟏,𝟒), (𝟐,𝟑), (𝟐,𝟒), (𝟑,𝟒)}
(3) 𝑻 =  {(𝟏,𝟒), (𝟐,𝟑), (𝟑,𝟐), (𝟒,𝟏)}

 

 

1)

\[
R = \begin{pmatrix}
1 & 0 & 0 & 0 \\
0 & 1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end{pmatrix}
\]

- 반사적이지 않음
- 대칭적임
- 추이적임

2)

\[
S = \begin{pmatrix}
1 & 1 & 1 & 1 \\
0 & 0 & 1 & 1 \\
0 & 0 & 0 & 1 \\
0 & 0 & 0 & 0 \\
\end{pmatrix}
\]

- 반사적이지 않음
- 대칭적이지 않음
- 추이적임

3)

\[
T = \begin{pmatrix}
0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0 \\
\end{pmatrix}
\]

- 반사적이지 않음
- 대칭적임
- 추이적이지 않음

 

 

 

 

 

4. 관계의 종류 

 

 

(1) 역관계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관계 R이 있을 때, 관계를 구성하는 각 순서쌍의 원소 순서를 바꾸면 Y에서 X로의 관계가 되며, 이를 역관계라고 한다. 



\( X \), \( Y \) : 집합  
\( R \) : \( X \)에서 \( Y \)로의 관계  

\( R^{-1} \) : \( R \)의 역관계 (inverse relation)  
\( R^{-1} = \{ (y, x) \mid (x, y) \in R \} \subseteq Y \times X \)

 

 

 

 

 

📌 예시: 𝑹𝑺의 역관계 구하기



\(A = \{1, 2, 3, 4\}\), \(B = \{0, 1, 2, 3\}\)

\(R = \{(x, y) \mid y = x - 1, x \in A, y \in B\}\)

\(S = \{(1, 2), (2, 3), (3, 0), (4, 1)\}\)

[풀이]

1. \(R^{-1}\):

\(R^{-1} = \{(y, x) \mid y = x - 1, x \in A, y \in B\}\)

\[
R^{-1} = \{(0, 1), (1, 2), (2, 3), (3, 4)\}
\]

2. \(S^{-1}\):

\(S^{-1} = \{(y, x) \mid (x, y) \in S\}\)

\[
S^{-1} = \{(2, 1), (3, 2), (0, 3), (1, 4)\}
\]

 

(2) 합성관계

\(A, B, C\): 집합  
\(R\): \(A\)에서 \(B\)로의 관계  
\(S\): \(B\)에서 \(C\)로의 관계

\(R\)과 \(S\)의 합성관계 (composition relation) \(S \circ R\):

\[ S \circ R = \{ (a, c) \mid a \in A, b \in B, c \in C, (a, b) \in R, (b, c) \in S \} \]

따라서,

\[ S \circ R \subseteq A \times C \]

(즉, \(A\)에서 \(C\)로의 관계)

 

 

 

 

📌 예시:  \( S \circ R \) 구하기

집합 \( A \) = \(\{a, b, c\}\), 집합 \( B \) = \(\{1, 2, 3\}\), 집합 \( C \) = \(\{x, y, z\}\)

관계 \( R \) = \(\{ (a, 1), (b, 3), (c, 1) \}\)

관계 \( S \) = \(\{ (1, x), (2, y), (3, z) \}\)

풀이:

\( S \circ R \) = \(\{ (a, x), (b, z), (c, x) \}\)

수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A = \{a, b, c\}
\]

\[
B = \{1, 2, 3\}
\]

\[
C = \{x, y, z\}
\]

\[
R = \{ (a, 1), (b, 3), (c, 1) \}
\]

\[
S = \{ (1, x), (2, y), (3, z) \}
\]

\[
S \circ R = \{ (a, x), (b, z), (c, x) \}
\]

 

 

 

(3) 동치관계

𝑹 ∶ 집합 𝑨에서 관계 𝑹이 반사적, 대칭적, 추이적이면 ⇒ 𝑹을 동치관계라고 부른다.

 

 

나머지 함수 

나머지 함수는 하나의 식을 다른 값으로 나눈 뒤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8 \mod 5 = 3\)이고 \(13 \mod 5 = 3\)이다. 두 정수 \(m\), \(n\)에 대해 양의 정수 \(d\)로 나머지 연산을 하였을 때, 같은 값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의 \(m\)과 \(n\)은 \(d\)에 관한 모듈로 합동이라 하고, \(m \equiv n \pmod{d}\)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8과 13은 5에 관한 모듈로-5 합동이라는 사실을 \(8 \equiv 13 \pmod{5}\)와 같이 표기한다.

 

 

\(m \equiv n \pmod{3}\)을 만족하는 \((m, n)\)의 순서쌍들의 집합을 관계 \(R\)이라 했을 때, 다음을 만족한다.

1. 임의의 \(a\)에 대해서 \(a \equiv a \pmod{3}\)이다.
2. \(a \equiv b \pmod{3}\)이면, \(b \equiv a \pmod{3}\)이다.
3. \(a \equiv b \pmod{3}\)이고, \(b \equiv c \pmod{3}\)이면, \(a \equiv c \pmod{3}\)이다.

위의 사실로부터 3에 관한 모듈로 합동은 반사적, 대칭적, 추이적 성질을 만족하므로 동치관계이다. 그리고 3 대신에 임의의 자연수를 대입하더라도 항상 반사적, 대칭적, 추이적임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모듈로 합동 관계는 항상 동치관계임을 알 수 있다.

 

📌 예시: 다음 모듈로 합동의 참, 거짓 여부를 판별하시오.

 

1) \(6 \equiv 16 \pmod{10}\)
2) \(3 \equiv 6 \pmod{7}\)

 

1) 6 mod 10 = 6, 16 mod 10 = 6이므로 참

2) 3 mod 7 = 3, 6 mod 7 = 6이므로 거짓 

 

 

 

 

 

(4) 동치류 

 

 

\( A \) : 집합

\( R \) : \( A \)에서의 동치관계

\( A \)의 임의의 원소 \( a \)에 대해서

\[ [a] = \{ x \in A \mid (a, x) \in R \} \]

이를 \( a \)의 동치류라고 부른다.

 

 

 

📌 예제: 집합 \( A = \{0, 1, 2\} \)에서의 관계 \( R = \{(0, 0), (1, 1), (1, 2), (2, 1), (2, 2)\} \)에 관해 서로 다른 동치류를 모두 찾으시오.

 

 

우선, 관계 \( R \)이 동치 관계인지 확인해 보자. 동치 관계가 되기 위해서는 반사성, 대칭성, 추이성을 만족해야 한다.

1. 반사성 (Reflexive):
    - 모든 \( a \in A \)에 대해 \( (a, a) \in R \)이어야 한다.
    - \( R \)에 \( (0, 0), (1, 1), (2, 2) \)가 있으므로 반사성을 만족한다.

2. 대칭성 (Symmetric):
    - 모든 \( (a, b) \in R \)에 대해 \( (b, a) \in R \)이어야 한다.
    - \( R \)에 \( (1, 2) \)가 있으므로 \( (2, 1) \)도 있습니다. 대칭성을 만족한다.

3. 추이성 (Transitive):
    - \( (a, b) \in R \)이고 \( (b, c) \in R \)이면 \( (a, c) \in R \)이어야 한다.
    - \( R \)에서 확인해 보면 \( (1, 2) \)와 \( (2, 1) \)로부터 \( (1, 1) \)가 필요합니다. \( (1, 1) \)은 이미 \( R \)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추이성을 만족한다.

따라서 \( R \)은 동치 관계이다.

 

이제 이 관계에 대한 동치류를 찾아보자.

동치류는 각 원소가 속하는 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

- 0에 대한 동치류: \([0] = \{0\}\)
- 1에 대한 동치류: \([1] = \{1, 2\}\)
- 2에 대한 동치류: \([2] = \{1, 2\}\)

따라서 서로 다른 동치류는 다음과 같다.

\[ \{0\}, \{1, 2\} \]

 

 

 


 

참고자료: 이산수학 | 손진곤 (지은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