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88 [독서 기록] 클린 코드 7장, 8장 / 오류 처리, 경계 클린 코드, 로버트 C. 마틴, 박재호 이해영 옮김, 인사이트 Clean Code(클린 코드) 『Clean Code(클린 코드)』은 오브젝트 멘토(Object Mentor)의 동료들과 힘을 모아 ‘개발하며’ 클린 코드를 만드는 최상의 애자일 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의 가치를 심어 주며 프로그래밍 실력을 높여줄 것이다. 여러분이 노력만 한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하냐고? 코드를 읽어야 한다. 아주 많은 코드를. 그리고 코드를 읽으면서 그 코드의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생각도 해야 한다. 좀 더 중요하게는 전문가로서 자신이 지니는 가치와 장인으로서 자기 작품에 대한 헌신을 돌아보게 된다. 저자 로버트 C 마틴 출판 인사이트 출판일 2013.12.24 뭔가 잘못될 가능성은 늘 존재한다. 뭔가.. 2022. 11. 9. [독서 기록] 클린 코드 4장, 5장, 6장 / 주석, 형식 맞추기, 객체와 자료 구조 클린 코드, 로버트 C. 마틴, 박재호 이해영 옮김, 인사이트 Clean Code(클린 코드) 『Clean Code(클린 코드)』은 오브젝트 멘토(Object Mentor)의 동료들과 힘을 모아 ‘개발하며’ 클린 코드를 만드는 최상의 애자일 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의 가치를 심어 주며 프로그래밍 실력을 높여줄 것이다. 여러분이 노력만 한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하냐고? 코드를 읽어야 한다. 아주 많은 코드를. 그리고 코드를 읽으면서 그 코드의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생각도 해야 한다. 좀 더 중요하게는 전문가로서 자신이 지니는 가치와 장인으로서 자기 작품에 대한 헌신을 돌아보게 된다. 저자 로버트 C 마틴 출판 인사이트 출판일 2013.12.24 주석이 필요한 상황에 처하면 곰곰이 생각.. 2022. 11. 9. [독서 기록] 클린 코드 3장 / 함수 클린 코드, 로버트 C. 마틴, 박재호 이해영 옮김, 인사이트 Clean Code(클린 코드) 『Clean Code(클린 코드)』은 오브젝트 멘토(Object Mentor)의 동료들과 힘을 모아 ‘개발하며’ 클린 코드를 만드는 최상의 애자일 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의 가치를 심어 주며 프로그래밍 실력을 높여줄 것이다. 여러분이 노력만 한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하냐고? 코드를 읽어야 한다. 아주 많은 코드를. 그리고 코드를 읽으면서 그 코드의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생각도 해야 한다. 좀 더 중요하게는 전문가로서 자신이 지니는 가치와 장인으로서 자기 작품에 대한 헌신을 돌아보게 된다. 저자 로버트 C 마틴 출판 인사이트 출판일 2013.12.24 작게 만들어라 - 42p 함수에서 들여쓰.. 2022. 11. 8. [독서 기록] 클린 코드 1~2장 / 깨끗한 코드, 의미 있는 이름 클린 코드, 로버트 C. 마틴, 박재호 이해영 옮김, 인사이트 Clean Code(클린 코드) 『Clean Code(클린 코드)』은 오브젝트 멘토(Object Mentor)의 동료들과 힘을 모아 ‘개발하며’ 클린 코드를 만드는 최상의 애자일 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의 가치를 심어 주며 프로그래밍 실력을 높여줄 것이다. 여러분이 노력만 한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하냐고? 코드를 읽어야 한다. 아주 많은 코드를. 그리고 코드를 읽으면서 그 코드의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생각도 해야 한다. 좀 더 중요하게는 전문가로서 자신이 지니는 가치와 장인으로서 자기 작품에 대한 헌신을 돌아보게 된다. 저자 로버트 C 마틴 출판 인사이트 출판일 2013.12.24 신은 세세함에 깃들어 있다. 건축가인 루.. 2022. 11. 8. [독서 기록] 공학의 시간, 이순석 지음, 청림출판 공학의 시간 ★★★ 이광형 KAIST 교수 · 최진석 서강대 교수 · 김태유 서울대 교수 추천 도서 ★★★ “이 비정상적인 박사의 통찰에 미래의 노멀이 담겨 있다” _최재붕 성균관대 교수 고민 없는 기술 개발은 멈추고,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가야 할 때 지속 가능성을 꿈꾸는 ETRI 디지털건축가의 인문학적 시선 지난 24년간 편성된 국가 R&D 예산, 300조 원. 어마어마한 금액을 연구개발에 쏟아부었음에도 여전히 그 성과가 미약한 이유는 무엇일까? 오랜 축적으로 지위를 획득한 선도 국가들의 ‘과학’, 막대한 인구와 자원을 무기로 빠르게 성장하는 후발 국가의 ‘기술’을 우리가 앞지를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 다가올 미래를 예측하고 새로운 세상을 설계하는 디지털건축가 이순석 박사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2022. 11. 4. 이전 1 ··· 13 14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