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69 kosta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 day 3 kosta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 day 3 Scanner를 통해 문자열을 입력받아보자. 순서상으로 nextInt(); 를 먼저하고 nextLine()을 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nextInt는 숫자 입력 후 함께 누른 엔터를 처리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산자 (operator) 피연산자 (operand) 사칙 연산자의 자동 타입 변환 : 데이터 타입은 연산을 하면 큰 쪽으로 간다 100 + 200L => 결과는 Long 타입의 300 3.0 - 2 => 결과는 double 타입의 1.0 10.0f / 2L => 결과는 float 타입의 5.0 문자열 + 비문자열 or 비문자열 + 문자열 => 문자열이 아닌 데이터를 문자열로 바꾼 후에 연결 365 + "일" -> "365일" 복합대입연.. 2022. 12. 22. 백준 11866 요세푸스 문제 0 (JAVA 자바 풀이) 백준 11866 요세푸스 문제 0 (JAVA 자바 풀이) 📌 문제 요세푸스 문제는 다음과 같다. 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 양의 정수 K(≤ N)가 주어진다. 이제 순서대로 K번째 사람을 제거한다.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N, K)-요세푸스 순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7, 3)-요세푸스 순열은 이다. N과 K가 주어지면 (N, K)-요세푸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N과 K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1 ≤ K ≤ N ≤ 1,000) 📣 출력 예제와 같이 요세푸스 순열을 출력한.. 2022. 12. 22. 백준 10866 덱 (JAVA 자바 풀이) 백준 10866 덱 (JAVA 자바 풀이) 📌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덱(Deque)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 push_front X: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 push_back X: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 pop_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pop_back: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덱이 비어있으면 1을, 아니면 0을 출력한다. 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 2022. 12. 22. 백준 10845 큐 (JAVA 자바 풀이) 백준 10845 큐 (JAVA 자바 풀이) 📌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front: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back: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2022. 12. 22. 자바스크립트 + 제이쿼리 입문 day 2 day 2 자바스크립트 + 제이쿼리 입문 연산자 산술연산자 -> +, -, *, /, % 증감연산자 -> ++, -- 할당연산자 -> +=, -=, *=, /= (연산 후에 값을 재할당한다) 비교연산자 -> 좌측과 우측의 값이 크다 작다를 비교 (100 > 10) => 이 식이 성립을 하느냐 못하느냐가 중요 ! 관계연산자 -> &&, || e.g. 100 > 10 && a > b 변수 가변변수와 불변변수 var = 전역변수와 함수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지역 변수로 구분 let = 블록 스코프의 범위에서만 값을 유지 const = 한번 지정하면 절대 변경되지 않는 불변 변수 * 스코프란 변수에 접근 가능한 영역을 의미 * var 블록 스코프 밖에서도 변수를 참조할 수 있어 문제 발생 자바스크립트에서 '.. 2022. 12. 21. 이전 1 ··· 92 93 94 95 96 97 98 ··· 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