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69 java & spring 1 스프링부트 자바 기반 웹개발 day 1 스프링이란 ? 자바 기반의 웹 프레임워크 - 프레임워크란 -> 구조 -> 틀 -> 활용해서 만들 수 있는 가이드라인 - 자바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자동화시켜줌 스프링부트는 스프링을 더 쉽게 이용하기 위한 도구. -스프링을 이용할 때 세팅할 것들을 자동화해줌 스프링부트를 왜 사용할까? - 비즈니스 로직에 더욱 집중하기 위함. 자바란 ? - 프로그래밍 언어 - 언어와 같아서 문법을 잘하는 것 자체가 잘하는 것이 아니고 영어를 프리토킹 하듯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자바의 특징 - 객체지향 (대부분 모든 언어들이 객체 지향임, 자바가 제일 먼저 시작했다는 의미) - JDK를 설치하여 가상 머신을 이용해 컴파일 - 메모리를 자동으로 관리한다 - 운영체제에 독립.. 2022. 12. 24. 자바스크립트 + 제이쿼리 입문 day 3 day 3 자바스크립트 + 제이쿼리 입문 배열과 조건문 배열 (array) 배열은 선언하는 두 가지 방식 var arrNumber = new Array(); 배열 선언 var arrNumber =[1,2,3,4]; 배열 index 값을 활용하기 var arrNumber = new Array(); arrNumber[0] = 1; arrNumber[1] = 2; arrNumber[2] = 3; 배열 함수 push() var example = new Array("a", "b", "c"); example.push("d"); 배열을 선언하고 브라우저에서 확인해보자. let arr = [1,2,3,4,5]; console.log(arr[2]); // 3 console.log(arr.length); // 5 if 조.. 2022. 12. 23. kosta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 day 4 kosta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 day 4 반복문 2단을 만들어보자 // 구구단 2단 만들어보기 for (int i = 1; i 조건식 -> 명령문 -> 증감식(감소식) : 수직 방향 1~10까지의 합을 while문으로 구해보기 int sum = 0; int i = 1; while (i 조건식 -> 명령문 -> 증감식 : 수평구조 for문의 무한 반복 : for (;;){} 랜덤 값을 구하기 // TODO : 주사위의 값을 구해보자 int randomNumber = (int) ( Math.random() * 6 ) +1 ; System.out.println(randomNumber); 랜덤 값을 이용해서 up down 게임을 만들어보자 . main class // TODO : UpDow.. 2022. 12. 23. 백준 10773 제로 (JAVA 자바 풀이) 백준 10773 제로 (JAVA 자바 풀이) 📌 문제 재현이는 잘못된 수를 부를 때마다 0을 외쳐서, 가장 최근에 재민이가 쓴 수를 지우게 시킨다. 재민이는 이렇게 모든 수를 받아 적은 후 그 수의 합을 알고 싶어 한다. 재민이를 도와주자! ⚔ 입력 첫 번째 줄에 정수 K가 주어진다. (1 ≤ K ≤ 100,000) 이후 K개의 줄에 정수가 1개씩 주어진다. 정수는 0에서 1,000,0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정수가 "0" 일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쓴 수를 지우고, 아닐 경우 해당 수를 쓴다. 정수가 "0"일 경우에 지울 수 있는 수가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 출력 재민이가 최종적으로 적어 낸 수의 합을 출력한다. 최종적으로 적어낸 수의 합은 2^31 -1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 문제 분석 .. 2022. 12. 23. 백준 1966 프린터큐 (JAVA 자바 풀이) 백준 1966 프린터큐 (JAVA 자바 풀이) 📌 문제 여러분이 할 일은, 현재 Queue에 있는 문서의 수와 중요도가 주어졌을 때, 어떤 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C문서는 1번째로, A문서는 3번째로 인쇄되게 된다. ⚔ 입력 첫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수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케이스는 두 줄로 이루어져 있다. 테스트케이스의 첫 번째 줄에는 문서의 개수 N(1 ≤ N ≤ 100)과, 몇 번째로 인쇄되었는지 궁금한 문서가 현재 Queue에서 몇 번째에 놓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수 M(0 ≤ M < N)이 주어진다. 이때 맨 왼쪽은 0번째라고 하자. 두 번째 줄에는 N개 문서의 중요도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중요도는 1 이상 9 이하의 정수이고, 중요도가 같은 문서.. 2022. 12. 23. 이전 1 ··· 91 92 93 94 95 96 97 ··· 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