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컴퓨터구조

방통대 컴퓨터구조 기출 문제 (2014~2019년도) 오답률 높은 문제와 해설 - 방송대

by Renechoi 2023. 12. 7.

1. 다음 명령어 중 누산기 구조를 이용한 명령어 형식은? (16년도 출석)

  1. ADD X
  2. ADD
  3. STORE R1, X
  4. ADD R1, R2

정답: 1

해설: 'ADD X' 명령어는 누산기 구조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이 명령어는 메모리 주소 X의 값을 누산기에 더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답선지 해설: 2번 'ADD'는 단독으로 누산기 구조를 나타내지 않는다. 3번 'STORE R1, X'는 레지스터 R1의 값을 메모리 주소 X에 저장하는 명령어로, 누산기 구조와 관련이 없다. 4번 'ADD R1, R2'는 두 레지스터 값을 더하는 명령어로, 역시 누산기 구조를 나타내지 않는다.

2. 다음 마이크로 연산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4년도 출석)

YT1 : R0 <- R0 V R1
Y(bar)T1: R0 <- R1(bar) + 1 
  1. Y=0, T1=0 일 때, R0와 R1의 OR 연산 후 R0에 적재한다.
  2. Y=1, T1=0 일 때, R1에 1을 덜한 후 결과를 R0에 적재한다.
  3. Y=0, T1=1 일 때, R1에 2의 보수를 계산 후 R0에 적재한다.
  4. Y=0, T1=1 일 때, R1에 1을 더한 후 결과를 R0에 적재한다.

정답: 3

해설: 'Y=0, T1=1 일 때, R1에 2의 보수를 계산 후 R0에 적재한다'는 설명이 적절하다. 'Y(bar)T1: R0 <- R1(bar) + 1'에서 Y(bar)는 Y가 0일 때를 의미하고, R1(bar) + 1은 R1의 2의 보수를 의미한다.

오답선지 해설:
1번과 2번 설명은 주어진 마이크로 연산과 일치하지 않는다. 4번 역시 주어진 마이크로 연산의 결과가 아니다.

3. 다음 중 마이크로연산의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14년도 출석)

  1. 한 클럭 주기 동안 수행된다.
  2. 일련의 비트에 대해 병렬로 수행된다.
  3. 레지스터에 젖아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수행된다.
  4. 마이크로 연산은 여러 개의 마이크로 명령어로 수행된다.

정답: 4

해설: '마이크로 연산은 여러 개의 마이크로 명령어로 수행된다'는 설명은 부적절하다. 마이크로 연산은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하나의 마이크로 명령어로 수행된다.

오답선지 해설:
1번, 2번, 3번 설명은 마이크로연산의 특성을 올바르게 나타낸다.

4. 다음과 같은 연산을 수행하려 할 때 그림에서 제어기억장치의 28개의 비트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2015 출석)

R5<-R6+R3, if(C=0) then (CAR<-62) else (CAR<-CAR+1) 
  1. 1~16번 비트는 이 연산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17번 비트는 (1)2 이어야 한다.
  3. 18~20번 비트는 캐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4. 21~28번 비트는 CAR<-CAR+1을 수행하도록 해준다.

정답: 3

해설: '18~20번 비트는 캐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는 설명이 올바르다. 이 비트들은 주어진 연산의 조건부 로직을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오답선지 해설:
1번, 2번, 4번 설명은 주어진 연산과 관련된 제어기억장치의 비트 구성을 잘못 설명하고 있다.

5. 다음중 컴퓨터 명령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필득 아닌 것은? (2015 기말)

  1. 기억장치주소 혹은 처리장치 레지스터를 선택하기 위한 주소 필드
  2. 주소필드에 대한 해석방법을 지정하는 방식 필드
  3. 수행할 연산을 나타내는 연산코드 필드
  4. 인터럽트 요청을 위한 제어필드

정답: 4

해설: '인터럽트 요청을 위한 제어필드'는 컴퓨터 명령의 대표적인 필드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명령어 구성에는 기억장치 주소, 방식 필드, 연산코드 필드가 포함된다.

오답선지 해설:
1번, 2번, 3번 설명은 컴퓨터 명령의 대표적인 필드를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

6. 다음중 M[X] <- TOS의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명령어는?

  1. POP X
  2. PUSH X
  3. STORE X
  4. LOAD X

정답: 2

해설: 'POP X' 명령어는 스택의 최상단 내용(TOS)을 메모리 위치 X에 저장하고 스택 포인터를 감소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오답선지 해설:
2번 'PUSH X'는 스택에 값을 추가하는 명령어이고, 3번 'STORE X', 4번 'LOAD X'는 각각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고 로드하는 명령어이지만, 스택의 최상단 값을 이용하지 않는다.

7. 다음 컴퓨터 명령어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AND R1, R2, R3
  1. 2-주소 컴퓨터 명령어이다.
  2. 데이터 전송을 위한 컴퓨터 명령어이다.
  3. 컴퓨터의 내부구조로 볼 때 누산기를 이용하는 컴퓨터 명령어이다.
  4. 컴퓨터의 내부구조로 볼 때 다중 레지스터를 이용하는 컴퓨터 명령어이다.

정답: 4

해설: 이 명령어는 '다중 레지스터를 이용하는 컴퓨터 명령어'로 분류된다. R1, R2, R3 세 개의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AND 연산을 수행한다.

오답선지 해설:
1번은 이 명령어가 2-주소 명령어라는 잘못된 정보이다. 2번은 데이터 전송 명령어와 관련 없다. 3번은 누산기를 사용하는 명령어와 관련 없다.

8. 아래 프로그램의 명령어 형식과 관계가 깊은 컴퓨터 내부구조는?

LOAD A; AC <- M[A] 
ADD B; AC <-AC+M[B] 
STORE X; () 
LOAD C; AC <- M[C]
MUL X; AC <- AC X M[X]
STORE X; ()
  1. 3-주소 명령어
  2. 2-주소 명령어
  3. 1-주소 명령어
  4. 0-주소 명령어

정답: 3

해설: 이 프로그램은 '1-주소 명령어' 형식을 사용한다. 각 명령어는 하나의 주소(예: A, B, C, X)를 사용하며, 나머지 연산은 누산기에서 수행된다.

오답선지 해설:
2번 '2-주소 명령어', 3번 '3-주소 명령어', 4번 '0-주소 명령어'는 이 프로그램의 명령어 형식과 일치하지 않는다.

9. 다음과 같은 연산을 숳행하려 할 때 그림에서 제어기억장치의 26개 비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R5 <-R6+R3; if(C=0) then (CAR<-62) else (CAR <-CAR+1) 
  1. 1 번〜 16번 비트는 조건문 if(C=0)를 수행한다.
  2. 17번 비트는 (0)2 이어야 한다.
  3. 18〜20번 비트 는캐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4. 21〜26번 비트는 주소 62번지를 나타낸다.

정답: 1

해설: '1 번〜 16번 비트는 조건문 if(C=0)를 수행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이 비트들은 연산을 위한 제어 신호에 사용되며, 조건문 수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오답선지 해설:
2번, 3번, 4번 설명은 제어기억장치의 비트 구성과 연산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

10. 다음 중 SP(Stack Pointer)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비트 수는 기억장치의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2. 다음에 수행되어질 명령어가 들어있는 주소를 갖고 있다.
  3. PC (Program Counter) 와 동일한 비트수를 갖는다.
  4. 스택 공간의 최상위 주소를 갖고 있다.

정답: 2

해설: '다음에 수행되어질 명령어가 들어있는 주소를 갖고 있다'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이는 프로그램 카운터(PC)의 기능이며, 스택 포인터는 스택의 최상위 주소를 나타낸다.

오답선지 해설:
1번, 3번, 4번 설명은 스택 포인터(SP)의 기능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

11. 다음과 같은 일련의 마이크로 연산은 명령어 사이클 중 어느 사이클인가?

T0: MAR <- PC
T1: MBR <-M[MAR], PC <- PC +1 
T2: IR <- MBR
  1. 인출 사이클
  2. 실행 사이클
  3. 간접 사이클
  4. 인터럽트 사이클

정답: 1

해설: 이 연산 시퀀스는 '인출 사이클'에 해당한다. 이 과정에서 명령어가 메모리에서 가져와지며, 명령어 레지스터(IR)에 저장된다.

오답선지 해설:
2번 '실행 사이클', 3번 '간접 사이클', 4번 '인터럽트 사이클'은 이 연산 시퀀스와 일치하지 않는다.

12. 다음 중 명령어의 OP code 부분이 이동되는 레지스터는?

  1. flag register
  2. index register
  3. addressregister
  4. instruction register

정답: 4

해설: 'instruction register'는 명령어의 OP code 부분이 저장되는 레지스터이다. 이 레지스터는 CPU가 수행할 명령어를 저장한다.

오답선지 해설:
1번 'flag register', 2번 'index register', 3번 'address register'는 OP code가 저장되는 레지스터가 아니다.

13. 다음은 여러 기억장치들의 설명이다. 기억장치 접근의 지역성(locality)을 충분히 이용하는 기억장치 두개를 고르면?

A.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내용을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 를 검색하여 읽어낼 수 있는 기억장치이다.
B.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게 허용된 주소 공간의 크기 보다 주기억장치의 크기가 작아서 보조기억장치의 일부 까지 포함하는 기 억 장치이 다.
C.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빠른 기억소자로 구성되어 중앙 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줄여 준다.
D. 하나의기억장치사이클동안여러개의단어를읽을수 있기 때문에 읽어 내는 속도를 향상시킨다.
  1. A, B
  2. B,C
  3. C, D
  4. A, D

정답: 2

해설:
지역성(Locality)을 충분히 이용하는 기억장치는 시간적 지역성과 공간적 지역성을 모두 활용한다. 선택지 B는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를 함께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주소 공간을 관리하는 가상 메모리를 의미한다. 가상 메모리는 공간적 지역성을 이용해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유지한다. 선택지 C는 캐시 메모리를 의미하며, 이는 중앙 처리 장치(CPU)와 주기억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캐시는 시간적 지역성을 이용해 최근 사용된 데이터나 주변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B와 C가 정답이다.

오답선지 해설:

  • A: 이 선택지는 내용 기반 주소 지정을 사용하는 연관 기억장치를 설명하고 있으며, 지역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 D: 여러 단어를 한 기억 장치 사이클 동안 읽는 것은 메모리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지만, 이는 지역성의 활용과는 다른 개념이다.
  • 1, 3, 4번 선택지는 문제의 요구사항과 일치하지 않는 조합이다.

14. 다음 중 버스의 중재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으로 외부의 하드웨어 회로를 이용하는 방식은?

  1. 데이지체인방식
  2. 핸드쉐이킹 방식
  3. 입출력제어 방식
  4. 프로그램 제어 방식

정답: 1

해설:
버스 중재 시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 중 데이지체인 방식은 외부의 하드웨어 회로를 이용한다. 이 방식에서는 여러 장치들이 하나의 체인처럼 연결되며, 우선순위는 체인 상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체인의 앞쪽에 위치한 장치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데이지체인 방식은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중재 방식의 예시이다.

오답선지 해설:

  • 2번 핸드쉐이킹 방식: 이 방식은 주로 데이터 전송 시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며, 버스 중재의 우선순위 결정과는 관련이 적다.
  • 3번 입출력제어 방식: 이는 버스 중재와 관련된 특정 방식이 아니며, 일반적인 입출력 제어 방식을 나타낸다.
  • 4번 프로그램 제어 방식: 이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버스 중재를 제어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회로를 이용하는 방식과는 다르다.

15. 다음 중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의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 (2018 출석)

  1. 레지스터 내의 데이터를 시프트시키는 연산이다.
  2. 데이터의 측면이동에 사용된다.
  3. 연산의 종류로는 왼쪽 시프트와 오른쪽 시프트가 있다.
  4. 왼쪽과 오른쪽 시프트에 있어서 입력비트는 1로 가정한다.

정답: 4

해설: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은 레지스터 내 데이터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이다. 이 연산에 있어서 입력비트는 기본적으로 0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4번 선지에서 "입력비트는 1로 가정한다"는 부적절한 설명이다.

오답선지 해설:
1번: 이 설명은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의 정확한 특성을 나타낸다.
2번: 데이터의 측면 이동은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이다.
3번: 왼쪽 시프트와 오른쪽 시프트는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의 두 가지 주요 종류이다.
4번: 이 설명은 오답이다. 시프트 연산에서 입력비트는 보통 0으로 가정한다.

16. 다음 중 처리장치에 있는 각 구성 요소의 선택신호를 설명하는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마이크로연산을 선택하는 신호
  2. 처리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
  3. 선택신호로서특정마이크로연산을선택
  4. 처리장치를 구동하는 클럭 신호

정답: 4

해설: 선택신호는 처리장치 내의 다양한 마이크로연산 혹은 구성요소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클럭 신호는 처리장치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지만, 특정 마이크로연산이나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4번 선지는 처리장치의 선택신호를 설명하는데 부적합하다.

오답선지 해설:
1번: 마이크로연산을 선택하는 선택신호의 기능을 정확히 설명한다.
2번: 선택신호는 처리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선택신호의 주요 역할 중 하나이다.
3번: 특정 마이크로연산을 선택하는 선택신호의 역할을 정확히 나타낸다.
4번: 이 설명은 오답이다. 클럭 신호는 처리장치를 구동하는 데 필요하지만, 구체적인 마이크로연산이나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데는 사용되지 않는다.

17. 다음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기 중, mux 2의 선택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mux2 
0 <- 0
1 <- 1
2 <- C
3 <- C(bar)
4 <- Z 
5 <- Z(bar)
6 <- S
7 <- V
  1. 상태비트의 값에 따라 CAR를 구동
  2. 0과 1의 조합으로 내부주소와 외부주소를 선택
  3. 처리장치의 ALU 마이크로연산
  4. 레지스터의 종류를 선택

정답: 1

해설: 정답 1번은 mux 2가 상태비트의 값을 기준으로 CAR(Conditional Address Register)를 구동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태비트'는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기 내부에서 특정 조건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를 의미하며, CAR는 이 비트 값에 따라 다음 마이크로명령의 주소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mux 2는 이러한 조건에 기반하여 마이크로명령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오답선지 해설:

  • 2번: 0과 1의 조합으로 내부주소와 외부주소를 선택하는 것은 mux 2의 역할과 관련이 없다. 이는 주로 주소 버스나 데이터 버스와 관련된 다른 구성 요소의 기능일 가능성이 높다.
  • 3번: 처리장치의 ALU 마이크로연산과 관련된 내용은 mux 2의 기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ALU(산술 논리 장치)의 마이크로연산은 보통 연산의 종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제어 신호들과 관련이 있다.
  • 4번: 레지스터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은 보통 레지스터 선택 신호나 명령어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진다. mux 2는 이와는 다른 역할을 하므로, 이 설명은 오답선지로 적절하다.

18. 다음 중 컴퓨터 명령어를 구성하는 주소 필드(address fiel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16 기말)

  1. 기억장치 주소 혹은 처리장치 레지스터를 선택하기 위한 필드이다.
  2. 명령어의 해석방법을 지정하는 필드이다.
  3.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할 연산을 지정하는 필드이다.
  4. 인터럽트 요청을 위한 제어 필드이다.

정답: 1

해설: 컴퓨터 명령어의 주소 필드는 기억장치의 주소나 처리장치의 레지스터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필드는 명령어가 어떤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어떤 레지스터를 사용할지 결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명령어를 수행할 때, 이 주소 필드를 참조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찾거나 레지스터와 상호 작용한다.

오답선지 해설:
2. 명령어의 해석 방법을 지정하는 것은 명령어 코드 필드의 역할이다.
3. 연산을 지정하는 것은 오퍼레이션 코드 필드(OP code)의 역할이다.
4. 인터럽트 요청과 관련된 제어는 명령어의 주소 필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19. 다음중 컴퓨터 명령과 컴퓨터의 내부구조와의 관계가 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1. 0-주소 명령: 스택을 이용한 구조
  2. 1-주소 명령: 다중 레지스터를 이용한 구조
  3. 2-주소 명령: 프로그램 카운터를 이용한 구조
  4. 3-주소 명령: 단일 누산기를 이용한 구조

정답: 1

해설: 0-주소 명령은 스택을 이용한 구조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 구조에서는 모든 연산들이 스택의 상위 두 요소를 대상으로 수행되며, 결과 역시 스택에 저장된다. 이 방식은 명령어가 주소 필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0-주소 명령이라고 불린다.

오답선지 해설:
2. 1-주소 명령은 주로 누산기 기반의 구조에서 사용된다.
3. 2-주소 명령은 두 개의 주소 필드를 가지며, 다중 레지스터 구조에서 주로 사용된다.
4. 3-주소 명령은 세 개의 주소 필드를 가지며, 복잡한 연산을 위한 구조에서 사용된다.

20. 다음 그림은 제어단어의 각 필드를 나타내고 있다. 위의 제어단어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로서 올바른 것은?

A - 1,2,3
B - 4,5,6
D - 7,8,9
F - 10,11,12,13
H - 14,15,16 
  1. A가 3비트이므로 외부 입력까지 고려한다면 레지스터 세트에는 최대한 7개의 레지스터가 포함될 수 있다.
  2. D가 3비트이므로 외부 출력까지 고려한다면 레지스터 세트에는 최대한 8개의 레지스터가 포함될 수 있다.
  3. F가 4비트이므로 쉬프터에서 이루어지는 연산의 종류가 최대한 16개이다.
  4. H가 3비트이므로 최대 8개의 상태값이 존재한다.

정답: 1

해설: A 필드가 3비트인 경우, 이는 최대 2^3, 즉 8가지 다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0을 포함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레지스터의 수는 7개가 된다. 따라서 A 필드를 통해 레지스터 세트에 최대 7개의 레지스터가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답선지 해설:
2. D 필드가 3비트인 경우, 이는 최대 8가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외부 출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3. F 필드가 4비트인 경우, 최대 2^4, 즉 16가지 다른 연산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4. H 필드가 3비트인 경우, 최대 8개의 상태값을 나타낼 수 있지만 이는 제어단어의 다른 부분과의 관계에서 더 구체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 다음의 CPU에 있는 특수 레지스터 중에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1. IR(Instruction Register)
  2. SP(StackPointer)
  3. PC (Program Counter)
  4. AC (Accumulator)

정답: 4

21. 해설

AC (Accumulator) 레지스터는 CPU에서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곳이다. 이 레지스터는 중앙처리장치(CPU)의 연산 단위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기억하며, 계산의 중간 결과나 최종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21. 오답선지 해설

  1. IR(Instruction Register)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데이터를 기억하는 용도가 아니다.
  2. SP(Stack Pointer)는 스택의 최상위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로, 데이터 저장보다는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는 역할을 한다.
  3. PC(Program Counter)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로, 데이터 자체를 기억하기보다는 명령어의 위치를 기억한다.

22. 다음 중 명령어 수행 사이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인출사이클
  2. 저장 사이클
  3. 인터럽트사이클
  4. 실행사이클

정답: 2

22. 해설

명령어 수행 사이클에는 인출 사이클, 실행 사이클, 그리고 인터럽트 사이클이 포함된다. 인출 사이클에서는 명령어가 메모리에서 CPU로 전송되고, 실행 사이클에서는 명령어가 수행된다. 인터럽트 사이클은 특정 조건에서 CPU가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저장 사이클은 명령어 수행 사이클의 일부가 아니다.

22. 오답선지 해설

  1. 인출사이클은 명령어가 메모리에서 CPU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2. 인터럽트사이클은 CPU가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3. 실행사이클은 CPU가 명령어를 실제로 수행하는 단계이다.

23. 캐시 기억 장치의 사상 방식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직접 사상
  2. 연관사상
  3. 집합-연관 사상
  4. 직접-분리 사상

정답: 4

23. 해설

캐시 기억 장치의 사상 방식에는 직접 사상, 연관 사상, 집합-연관 사상이 포함된다. 직접 사상은 메모리 블록을 캐시의 특정 위치에 직접 매핑하는 방식이고, 연관 사상은 메모리 블록을 캐시의 어느 위치에나 저장할 수 있는 방식이다. 집합-연관 사상은 이 두 방식의 중간 형태로, 메모리 블록을 캐시 내의 특정 그룹에 저장할 수 있다. 직접-분리 사상은 캐시 기억 장치의 사상 방식이 아니다.

23. 오답선지 해설

  1. 직접 사상은 메모리 블록을 캐시의 특정 위치에 매핑하는 방식이다.
  2. 연관사상은 메모리 블록을 캐시의 어느 위치에나 저장할 수 있는 방식이다.
  3. 집합-연관 사상은 직접 사상과 연관 사상의 중간 형태로, 메모리 블록을 캐시 내의 특정 그룹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24. 다음은 여러 기억장치들에 대한 설명이다. 주소 변환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주소 변환표(address translation table)를 사용하는 기억장치는?


A.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내용을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읽어낼 수 있는 기억장치이다.
B.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게 허용된 주소 공간의 크기보다 주기억장치의 크기가 작아서 보조기억장치의 일부까지 포함 하는 기 억 장치이 다.
C.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빠른 기억소자로 구성되어 중앙처리 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줄여 준다.
D. 하나의기억장치사이클동안여러개의단어를읽을수 있기 때문에 읽어 내는 속도를 향상시킨다.
  1. A
  2. B
  3. C
  4. D

정답: 2

해설: 주소 변환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주소 변환표를 사용하는 기억장치는 가상 메모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이다. 가상 메모리는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주소 공간이 물리적인 메모리의 크기보다 클 수 있도록 해주며, 이를 위해 주소 변환표를 이용하여 물리적 주소와 가상 주소를 매핑한다. 이 방식은 주기억장치의 크기보다 큰 주소 공간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오답선지 해설:

  • A 선지: 이는 내용 주소 기억장치(Content Addressable Memory, CAM)의 설명으로, 데이터의 내용을 이용해 검색하는 특수한 형태의 메모리이다.
  • C 선지: 이는 캐시 메모리에 대한 설명으로,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속도 차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 D 선지: 이는 버스트 모드의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하나의 메모리 사이클 동안 여러 단어를 읽어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25. 다음중 DMA 제어기 내부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주소 레지스터
  2. 단어 계수 레지스터
  3. 누산기 (Accumulator)
  4. 제어 회로

정답: 3

해설: DMA(Direct Memory Access) 제어기는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CPU의 개입 없이 직접 수행한다. DMA 제어기의 주요 구성 요소에는 주소 레지스터, 단어 계수 레지스터, 제어 회로 등이 있지만 누산기는 CPU의 주요 구성 요소로, DMA 제어기의 내부 구성 요소가 아니다.

오답선지 해설:

  • 1 선지: 주소 레지스터는 DMA 작업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 2 선지: 단어 계수 레지스터는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저장하며, 전송이 진행될 때마다 감소된다.
  • 4 선지: 제어 회로는 DMA 작업의 제어 및 조정을 담당한다.

26. 다음 중 병렬 알고리즘을 직접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새로운 처리기 구조는 ?

  1. 데이터흐름컴퓨터
  2. VLSI 처리기
  3. 배열처리기
  4. 다중처리기

정답: 2

해설: 병렬 알고리즘을 직접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새로운 처리기 구조 중 VLSI(대규모 집적회로) 처리기가 있다. VLSI 처리기는 많은 수의 트랜지스터를 하나의 칩에 집적하여 고도로 복잡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병렬 처리 및 고성능 컴퓨팅에 적합하며, 병렬 알고리즘의 효율적인 실행을 지원한다.

오답선지 해설:

  • 1 선지: 데이터흐름컴퓨터는 프로그램의 데이터 흐름에 따라 작동하는 컴퓨터 아키텍처로, 병렬 알고리즘을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것은 아니다.
  • 3 선지: 배열처리기는 특정한 계산을 병렬로 수행하는 데 특화된 처리기로, 일반적인 병렬 알고리즘의 하드웨어 구현에 사용되지는 않는다.
  • 4 선지: 다중처리기는 여러 CPU를 사용하여 병렬 처리를 수행하지만, 이는 병렬 알고리즘을 직접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형태는 아니다.

27. 다음 중 내부 버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2017 기말)

  1. 기억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공통 선로의 집합이다.
  2. 중앙처리장치 내부에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통로이다.
  3. 멀티플렉서와 인코더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4. 입출력장치들을 내부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통로이다.

정답: 2

해설: 내부 버스는 중앙처리장치(CPU) 내부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를 말한다. CPU 내부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레지스터, ALU, 제어 장치 등이 데이터와 명령어를 교환할 때 내부 버스를 통해 이를 수행한다. 이러한 버스는 CPU의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필수적이며, 그 성능은 CPU의 전체적인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오답선지 해설:
1번은 시스템 버스에 대한 설명으로, 기억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3번은 내부 버스의 구성 방식에 대한 설명이 아니다. 4번은 내부 버스가 아닌, 주변 장치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입출력 버스에 대한 설명이다.

28. 다음 중 컴퓨터 내부장치와 입출력장치의 차이점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전송속도의 차이
  2. 데이터 처리단위의 차이
  3. 에러율의 차이
  4. 데이터 신호 종류의 차이

정답: 4

해설: 데이터 신호 종류의 차이는 컴퓨터 내부장치와 입출력장치의 차이점이 아니다. 두 장치 모두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컴퓨터의 내부장치와 입출력 장치는 데이터 전송 속도, 처리 단위, 에러율 등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신호의 종류 자체에서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오답선지 해설:
1번은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차이가 있으며, 보통 내부장치가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2번은 내부장치가 보통 더 큰 데이터 단위로 처리하는 반면, 입출력 장치는 더 작은 단위로 처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번은 일반적으로 내부장치가 더 낮은 에러율을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9. 다음 중 입출력시스템에서 버스의 사용을 중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중앙집중식 병렬 중재 방법
  2. 우선순위 인코더 방법
  3. 폴링 중재 방법
  4. 데이지 체인 방법

정답: 2

해설: 우선순위 인코더 방법은 버스 사용을 중재하는 방법이 아니다. 버스 중재는 여러 장치들이 버스를 공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말한다. 우선순위 인코더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입력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신호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며, 버스 중재와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다.

오답선지 해설:
1번의 중앙집중식 병렬 중재 방법은 여러 장치들이 동시에 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식이다. 3번의 폴링 중재 방법은 중앙 제어 장치가 차례대로 각 장치를 확인하며 버스 사용권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4번의 데이지 체인 방법은 연결된 순서대로 장치들이 버스 사용권을 얻을 수 있는 방식이다.

30. 다음 중 프로그램 내장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컴퓨터 내부에 숫자형태로 사용될 프로그램을 고정시켜 사용 하는 방식
  2. 프로그램의 명령어가 필요할 때마다 입력장치를 통해 읽어 들이는 방식
  3. 프로그램을 중앙처리장치에 기억시키는 방식
  4. 2진 코드의 형태로서 컴퓨터 명령어를 주기억장치에 저장시키는 방식

정답: 4

해설: 프로그램 내장 방식은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2진 코드의 형태로서 주기억장치에 저장시키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컴퓨터는 주기억장치에서 명령어를 읽고 처리할 수 있다. 이 방식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동시에 저장할 수 있게 하여, 처리 속도를 높이고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한다.

오답선지 해설:

  1. 이 방식은 프로그램을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주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2. 필요할 때마다 입력장치를 통해 프로그램을 읽어 들이는 것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이 아니라 인터프리터나 기타 동적 로딩 방식에 해당한다.
  3. 중앙처리장치에 프로그램을 기억시키는 것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의 일부가 될 수 있으나, 이 자체로는 프로그램 내장 방식의 전체적인 설명이 되지 않는다.

31. 다음 중 처리장치에 있는 각 구성요소의 선택신호를 설명하는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마이크로연산을 선택하는 신호
  2. 처리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
  3. 선택신호로서 특정 마이크로연산을 선택
  4. 처리장치를 구동하는 클럭 신호

정답: 4

해설: 클럭 신호는 처리장치를 구동하는 신호이지만, 특정 마이크로연산이나 처리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신호는 아니다. 클럭 신호는 처리장치의 동작 속도를 결정하고, 동기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신호는 처리장치의 모든 부분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전체 시스템의 타이밍을 조절한다.

오답선지 해설:

  1. 마이크로연산을 선택하는 신호는 각 연산을 구분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하다.
  2. 처리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은 선택신호의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이다.
  3. 특정 마이크로연산을 선택하는 선택신호는 처리장치에서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32. 중앙처리장치에서 명령어의 연산코드(OP code)는 어느 레지스터 로 전송되는가?

  1. PC
  2. AC
  3. IR
  4. MBR

정답: 3

해설: 명령어의 연산코드(OP code)는 중앙처리장치(CPU) 내의 명령어 레지스터(IR: Instruction Register)로 전송된다. IR은 CPU가 현재 실행하고 있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명령어의 연산코드는 CPU가 수행해야 할 연산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답선지 해설:

  1. PC(Program Counter)는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한다, 명령어 자체나 연산코드를 저장하지 않는다.
  2. AC(Accumulator)는 연산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이지, 연산코드를 저장하는 용도는 아니다.
  3. MBR(Memory Buffer Register)는 메모리와 CPU 사이에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 사용되지만, 연산코드를 직접 저장하지는 않는다.

33. 다음 중 프로그램 카운터(PC)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다음에 수행되어질 명령어가 들어있는 주소를 갖고 있다.
  2. 비트 수는 기억장치의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3. 현재의 데이터를 인출한 후에는 자동적으로 1 증가한다.
  4. 비트수는 명령어의 연산 코드의 비트 수와 같다.

정답: 4

해설: 프로그램 카운터(PC)의 비트수는 명령어의 연산 코드의 비트 수와 동일하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PC의 비트 수는 시스템의 메모리 주소 공간을 참조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명령어의 연산 코드 비트 수와는 다를 수 있다.

오답선지 해설:

  1. PC는 다음에 수행될 명령어의 메모리 주소를 저장한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2. PC의 비트 수는 기억장치의 주소 공간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시스템의 메모리 용량과 관련이 있다.
  3. PC는 현재 명령어를 인출한 후 자동적으로 1 증가하여 다음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킨다, 이는 PC의 기본 작동 원리에 부합한다.

34.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억장치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 주소화 기억장치(CAM: Content Addressable Memory)라고도 불리는 기억장치는?

  1. 연관기억장치
  2. 복수모듈기억장치
  3. 가상기억장치
  4. 캐시기억장치

정답: 1

해설: 내용 주소화 기억장치(CAM: Content Addressable Memory)는 연관기억장치(Associative Memory)라고도 불린다. 이 기억장치는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검색하며, 기억장치의 특정 주소가 아닌 데이터의 내용 자체로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오답선지 해설:
2. 복수모듈기억장치는 다수의 메모리 모듈을 사용해 병렬 처리를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억장치이다.
3. 가상기억장치는 실제 물리적 메모리보다 더 큰 메모리 공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4. 캐시기억장치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며, 주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사용된다.

35. 다음 중 주기억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속도 차이를 보완하고자 하는 목적의 기억장치는?

  1. 연관 기억장치
  2. 단일 모듈 기억장치
  3. 캐시 기억장치
  4. 복수 모듈 기억장치

정답: 3

해설: 주기억장치와 중앙처리장치(CPU) 사이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기억장치는 캐시 기억장치(Cache Memory)이다. 캐시 기억장치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며,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나 명령어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저장해 둔다.

오답선지 해설:

  1. 연관 기억장치는 데이터의 내용으로 데이터를 검색하는 기억장치이며, 주기억장치와 CPU 사이의 속도 차이를 줄이는 데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2. 단일 모듈 기억장치는 한 개의 메모리 모듈을 사용하는 기억장치이며, 속도 차이를 줄이는 데 특화되어 있지 않다.
  3. 복수 모듈 기억장치는 여러 메모리 모듈을 병렬로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억장치이지만, 주로 메모리 용량 확장에 초점을 맞춘다.

36. 다음 중 기억장치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 방법의 사용목적 으로 올바른 것은?

  1. 메모리 액세스 효율 증대
  2. 기억용량의 증대
  3. 입출력 장치의 증설
  4. 전력소모 감소

정답: 1

해설: 기억장치 인터리빙은 여러 메모리 모듈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산시키고, 이를 통해 메모리 액세스 시간을 줄이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메모리 액세스 요청이 동시에 여러 모듈에 분산되므로, 각 모듈은 동시에 다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 효율을 증대시킨다.

오답선지 해설:
2. 기억용량의 증대: 인터리빙은 기억용량 자체를 증대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메모리 용량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3. 입출력 장치의 증설: 이 방법은 입출력 장치의 수를 증설하는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주로 메모리의 접근 속도와 관련된 기술이다.
4. 전력소모 감소: 기억장치 인터리빙은 전력 소모를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 아니며, 이는 메모리 접근 효율성과 관련된 기술이다. 전력 소모는 다른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37. 가상기억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자료의 페이지를 옮길 때 주소를 조정해 주어야 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pooling
  2. blocking
  3. mapping
  4. buffering

정답: 3

해설:
가상기억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자료의 페이지를 옮기는 과정에서 주소를 조정하는 것을 '매핑(mapping)'이라 한다. 이는 가상 주소를 실제 메모리의 물리적 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으로, 메모리 관리 유닛(MMU)을 통해 수행된다. 매핑을 통해 프로그램은 실제 메모리의 구조와 상관없이 독립적인 주소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오답선지 해설:

  1. 'spooling'은 주로 프린터와 같은 입출력 장치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장치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을 조절한다.
  2. 'blocking'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큰 블록으로 묶어 처리하는 방식이다.
  3. 'buffering'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를 사용하여 입출력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38. 다음 중 입출력 장치의 입출력 제어방식이 아닌 것은?

  1. DMA 제어
  2. 채널에 의한 제어
  3. 스트로브 제어
  4. 중앙처리장치 제어

정답: 3

해설:
'스트로브 제어'는 입출력 장치의 제어 방식이 아니다. 스트로브 제어는 주로 디지털 회로에서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 방식이다.

오답선지 해설:

  1. 'DMA 제어'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입출력 장치가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2. '채널에 의한 제어'는 입출력 장치에 전용 채널을 할당하여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3. '중앙처리장치 제어'는 CPU가 직접 입출력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39. 다음 중 병렬처리기를 처리기의 상호연결망 구조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SISD, SIMD, MISD, MIMD
  2. 다중장치 처리기,파이프라인 처리기
  3. 버스,크로스바,트리,입방체
  4. 공유 기억장치시스템,메시지 전달시스템

정답: 3

해설:
병렬처리기의 상호연결망 구조에 따른 분류에서 '버스, 크로스바, 트리, 입방체'는 각각 다른 병렬처리 시스템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이들은 프로세서와 메모리 또는 프로세서끼리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며, 병렬처리의 효율성과 확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답선지 해설:

  1. 'SISD, SIMD, MISD, MIMD'는 병렬처리기의 분류가 아니라, 컴퓨터 구조의 분류에 속한다. 이들은 단일 명령 스트림과 단일 데이터 스트림(SISD)부터 다중 명령 스트림과 다중 데이터 스트림(MIMD)까지 다양한 처리 방식을 나타낸다.
  2. '다중장치 처리기, 파이프라인 처리기'는 병렬 처리기의 종류를 나타내지만, 이들은 상호연결망 구조에 따른 분류가 아니다.
  3. '공유 기억장치시스템, 메시지 전달시스템'은 병렬 처리 시스템의 메모리 구조에 따른 분류로, 연결망 구조와는 다른 개념이다.

40. 다음 중 컴퓨터 명령어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필드가 아닌 것은?

  1. 기억장치주소 혹은 처리장치 레지스터를 선택하기 위한 주소 필드
  2. 주소필드에 대한 해석방법을 지정하는 방식 필드
  3. 수행할 연산을 나타내는 연산코드 필드
  4. 인터럽트 요청을 위한 제어 필드

정답: 4

해설: 컴퓨터 명령어는 주로 명령어 코드, 주소 필드, 방식 필드로 구성된다. 인터럽트 요청을 위한 제어 필드는 일반적인 명령어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다. 인터럽트 요청은 시스템의 운영체제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처리되며, 기본 명령어 세트와는 별도로 관리된다.

오답선지 해설:

  1. 기억장치주소 혹은 처리장치 레지스터를 선택하기 위한 주소 필드는 명령어에서 특정 데이터나 레지스터의 위치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2. 주소필드에 대한 해석방법을 지정하는 방식 필드는 명령어가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3. 수행할 연산을 나타내는 연산코드 필드는 명령어가 수행할 구체적인 작업을 정의한다.

41.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기에서 mux1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내부 주소와 외부 주소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이다.
  2. MUX1 의 선택신호로는 1비트가 필요하다.
  3. 선택신호로서 (0)2은 내부주소를,(1)2은 외부주소를 선택한다.
  4. MUX1 의 출력은 디코더와 연결된다.

정답: 4

해설: MUX1은 내부 주소와 외부 주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그 출력이 디코더와 연결되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MUX1의 출력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명령 레지스터나 다른 내부 경로에 연결되어 해당 선택에 따라 적절한 주소나 데이터를 제공한다.

오답선지 해설:

  1. 내부 주소와 외부 주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라는 설명은 MUX1의 기본 기능을 정확히 설명한다.
  2. MUX1의 선택신호로 1비트가 필요한 것은 보통의 멀티플렉서 동작과 일치한다.
  3. 선택신호 (0)2은 내부주소를, (1)2은 외부주소를 선택한다는 설명은 MUX1의 작동 방식을 정확히 설명한다.

42.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에서 명령어의 연산 코드(OP code)가 보관 되는데 사용되는 레지스터는?

  1. PC
  2. AC
  3. IR
  4. SP

정답: 3

해설: IR(Instruction Register)은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명령어를 보관하는 데 사용되는 레지스터이다. 이 레지스터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연산 코드(OP code)를 저장하며, CPU가 어떤 연산을 수행할지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오답선지 해설:

  1. PC(Program Counter)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킨다.
  2. AC(Accumulator)는 연산 결과나 중간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3. SP(Stack Pointer)는 스택의 최상위 주소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43. 다음과 같은 일련의 마이크로연산은 명령어 사이클 중 어느 사이클인가?

T0 : MAR <- PC
T1 : MBR <- M[MAR], PC <- PC + 1
T2 : IR <- MBR
  1. 인출 사이클
  2. 실행 사이클
  3. 간접 사이클
  4. 인터럽트 사이클

정답: 1

해설: 이 일련의 마이크로연산은 명령어 인출 사이클에 해당한다. 인출 사이클은 CPU가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읽어오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MAR(Memory Address Register)에 PC(Program Counter)의 값이 할당되고, MBR(Memory Buffer Register)를 통해 해당 메모리 위치의 명령어가 읽혀진다. 이후 PC는 다음 명령어의 주소로 갱신되고, IR(Instruction Register)에 읽혀진 명령어가 저장된다.

오답선지 해설:
2. 실행 사이클은 명령어가 실행되는 단계로, 인출 사이클 이후 발생한다.
3. 간접 사이클은 주소가 간접적으로 참조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추가적인 사이클이다.
4. 인터럽트 사이클은 외부 이벤트에 의해 발생하는 특별한 처리 사이클이다.

44. 다음 중 버스의 중재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정하는 방법으로 외부의 하드웨어 회로를 이용하는 방식은?

  1. 데이지 체인방식
  2. 핸드쉐이킹 방식
  3. 입출력 제어방식
  4. 프로그램 제어방식

정답: 1

해설: 데이지 체인방식은 여러 장치들이 일련의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장치는 다음 장치로 중재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외부 하드웨어 회로를 이용하여 버스 사용권을 순차적으로 넘겨주기 때문에, 우선 순위는 연결 순서에 따라 결정된다.

오답선지 해설:
2. 핸드쉐이킹 방식은 데이터 전송 시 두 장치 간의 신호 조절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중재보다는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둔다.
3. 입출력 제어방식은 소프트웨어적 제어를 통해 입출력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으로, 버스의 중재 우선 순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4. 프로그램 제어방식은 중앙처리장치(CPU)가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 버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 방식은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적 제어에 의존한다.

45. 다음 중 입출력장치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야 하는 하드웨어가 아닌 것은?

  1. 데이터 버퍼
  2.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3. 장치번호 디코더
  4. 멀티플렉서

정답: 4

해설: 멀티플렉서는 여러 입력 신호를 하나의 출력으로 결합하는 장치로, 주로 신호 처리에 사용된다. 하지만 입출력장치 인터페이스의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다. 입출력장치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전송, 상태 표시, 제어 신호 등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오답선지 해설:

  1. 데이터 버퍼는 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여,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인다.
  2.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장치가 현재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장치번호 디코더는 여러 장치 중에서 특정 장치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어, 장치 식별과 선택에 필수적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