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pcurve659

[백준/파이썬] 1065 한수 [백준/파이썬] 1065 한수 📌 문제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문제분석 두자리수까지는 자동 카운팅이 되는 것을 유념한다. 3자리수 이상부터 계산시 배열의 개수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념한다. 💡 코드 구현 def get_digit_number(n): digits = [int(digit) for digit in str(n)] ret.. 2022. 11. 30.
[백준/파이썬] 4673 셀프 넘버 [백준/파이썬] 4673 셀프 넘버 📌 문제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20, 123, 129, .. 2022. 11. 30.
[백준/자바] 18258 큐 2 [백준/자바] 18258 큐 2 📌 문제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2,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 입력 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 📣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 문제분석하기 자료구조 큐의 명령어를 구현하면 되는 문제이다. if나 case 조건절 분기를 사용하지 않고 enum을 .. 2022. 11. 28.
[백준/파이썬] 2953 나는 요리사다 [백준/파이썬] 2953 나는 요리사다 📌 문제 "나는 요리사다"는 다섯 참가자들이 서로의 요리 실력을 뽐내는 티비 프로이다. 각 참가자는 자신있는 음식을 하나씩 만들어오고, 서로 다른 사람의 음식을 점수로 평가해준다. 점수는 1점부터 5점까지 있다. 각 참가자가 얻은 점수는 다른 사람이 평가해 준 점수의 합이다. 이 쇼의 우승자는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사람이 된다. 각 참가자가 얻은 평가 점수가 주어졌을 때, 우승자와 그의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총 다섯 개 줄에 각 참가자가 얻은 네 개의 평가 점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첫 번째 참가자부터 다섯 번째 참가자까지 순서대로 주어진다. 항상 우승자가 유일한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 출력 첫째 줄에 우승자의 번호와 그가.. 2022. 11. 28.
[백준/자바] 11050 이항 계수 구하기 1 [백준/자바] 11050 이항 계수 구하기 1 📌 문제 자연수 N과 정수 K가 주어졌을 때 이항 계수 (N/K)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N\(N\)과 K\(K\)가 주어진다. (1 ≤ N ≤ 10, 0 ≤ K ≤ N) 📣 출력 💎 문제분석하기 조합론 이항계수의 기본 문제 2차원 배열에 value를 채워넣어 최종적으로 D[5][2]를 구하면 된다 이때 두 가지 규칙을 사용한다 i) 기본 특성 - iC1 = i = i개 중 1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i개 - iC0 = 1 = i개 중 1개도 선택하지 않는 경우의 수는 1개 - iCi = 1 = i개 중 i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1개 ii) 조합의 점화식 - nCk + nCk+1 = n+1Ck+1 💡 코드 구현하기 import .. 2022. 1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