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69

저장장치의 종류,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 FCFS, SSTF, SCAN, C-SCAN, LOOK, C-LOOK, SLTF(회전시간최적화), 파일 관리 1. 저장장치의 종류 순차접근 저장장치 -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거나 쓸 수 있는 저장장치: 테이프 장치 - 초기 접근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림 - 대량의 데이터 백업용 직접접근 저장장치 - 지정한 위치를 직접 찾아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는 저장장치 - 임의접근 저장장치 - 예: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SSD 자기 디스크: 자성을 띈 디스크의 표면에 데이터를 쓰거나 읽음 광디스크 - 디스크 표면에 레이저를 쏘아 반사되는 빛의 차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씀 - 예: CD-ROM, CD-RW,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 나선형인 하나의 트랙으로 구성 SSD - 읽고 쓰기가 가능하면서 전력공급이 없어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메모리 이용 - 자기 디스크보다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음 - 용량 대.. 2023. 6. 16.
장치 관리, 장치의 개념, 장치의 구성, 입출력 처리 유형, 입출력 관리 1. 장치의 개념 다양한 장치들 - CPU, 메모리: 프로세스 실행에 필수 - 나머지 : 프로세스 실행시 데이터 입력이나 출력에 사용되는 입출력 장치 세가지 범주 - 전용장치, 공용장치, 가상장치 구분 기준 - 장치의 기능적 특징과 장치관리자의 관리 방법 전용 장치 - 한 번에 단지 하나의 프로세스에만 할당 (동시 x) - 예: 테이프 드라이브, 프린터, 플로터 등 - 단점: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공용장치 - 여러 프로세스에 동시에 할당 - 예: 디스크 같은 직접 접근 저장 장치 - 스케줄링 기법 필요 가상장치 - 전용장치를 공용장치처럼 보이게 함 - 디스크 같은 공용장치를 이용 - 스풀링을 적용한 플로터 등 2. 장치의 구성 장치제어기 - 장치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전자장치 - 장치에서 발생하는 각.. 2023. 6. 15.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프로세스별 페이지 집합관리 1.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페이징 기법 - 모든 페이지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을 때 새로 적재되어야 할 페이지를 위해 적절한 교체 대상을 결정 최적화 원칙 -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 대상으로 선택 - 이론적으로 최적이나 미래를 예측할 수 없어 실현 불가 선택을 위한 기본 정책 - 대체로 좋은 결론을 내리면서 시간, 공간 오버헤드가 적은 것 교체 제외 페이지 - 페이징을 위한 커널 코드 영역 - 보조기억장치 드라이버 영역 - 시간을 맞춰 동작해야 하는 코드 영역 - 입출력장치를 위한 데이터 버퍼 영역 종류 - FIFO - LRU - LFU - 2차 기회 페이지 교체 FIFO(First-In-First-Out) 메모리 내에 가장 오래 있었던 페이지를 선택하여 교체 구현: FIFO 큐.. 2023. 6. 15.
운영체제 가상 메모리, 개념, 블록 단위 주소 변환, 메모리 호출 기법 1. 가상 메모리의 개념 연속 메모리 할당 - 메모리 크기보다 더 큰 기억공간이 필요한 프로세스는 실행불가 -> 그러한 프로세스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가상 메모리 사용 즉, 아무리 큰 프로세스라도 한 순간에는 사용하는 부분이 작다. 따라서 현재 실행하는 부분만 메모리에 올려서 사용할 수 있게 함. 가상메모리 -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의해 참조되는 주소를 메모리에서 사용하는 주소와 분리 - 현재 필요한 일부만 메모리에 적재 보조기억장치에 전체를 저장해놓고 쓰이는 부분을 메모리에 올려서 씀 이때 실주소라는 것은 메모리에서 쓰이는 주소 가상주소 a이지만 실제 주소는 b이므로 사상이 필요 사상(mapping) - 프로세스 실행을 위해 가상주소를 실주소로 변환하는 과정 - 동적 주소변환(DAT): 프로.. 2023. 6. 15.
운영체제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와 메모리, 단일 프로그래밍 환경,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 메모리 배치기법 1. 프로세스와 메모리 프로세스의 동작 - 프로세스 카운트(PC)를 참조하여 수행될 명령을 메모리에서 읽어 CPU로 수행하는 것 기억장치 계층구조 - 적절한 비용으로 높은 성능을 내는 것이 목표 메모리 관리 - 메모리 호출: 언제 새로운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둘 것인가? - 메모리 배치: 다음에 실행될 프로세스를 메모리 내의 어느 곳에 둘 것인가? - 메모리 교체: 메모리가 꽉 찬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적재해야 한다면 어떤 프로세스를 제거할 것인가? - 그외: 고정/동적 분할, 고정/유동 적재영역 등 2. 단일 프로그래밍 환경 하나의 프로세스만 메모리를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 프로세스는 하나의 연속된 블록으로 메모리에 할당 -> 연속메모리 할당 문제점 -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는 프로세스는 실.. 2023.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