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69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그램의 기계어 명령어 하나를 컴퓨터의 CPU가 수행하는 과정 컴퓨터 구조 cpu와 메모리, 저장장치 등이 BUS로 연결 다양한 입출력 장치도 BUS에 연결될 수 있음 기본적으로 컴퓨터에는 cpu, mem, hdd 등의 저장장치 등이 있다. 그 외의 부가 적인 저장장치등이 있다. 내부에 BUS라는 것이 존재해서, BUS를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데이터들이 BUS를 통해서 메모리로 올라오고 CPU가 메모리의 내용을 작업 한다. 컴퓨터 동작 원리 전원: 운영체제 적재(저장장치 -> 메모리) -> 수행 CPU는 인출-해석-실행 주기를 반복하여 메모리의 명령어를 실행 컴퓨터를 켰을 때 -> 제일 먼저 저장장치에 있던 운영체제가 메모리에 올라온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줌. 그 명령어들을 cpu가 처리하는데 세 가지 단계로 처리한다. ->.. 2023. 10. 9. 컴퓨터, 컴퓨터과학, 컴퓨터 시스템 1. 컴퓨터 - 데이터 처리기 입력 -> 처리 -> 출력 - 프로그램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기 프로그램이 가능한 자료 처리기이다. 단순히 입력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정의됨 프로그램이란? - 컴퓨터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알려주는 일련의 명령어 집합 - 처리 가능한 작업의 유형과 연산의 집합을 결정 - 컴퓨터 -> 특수 목적의 작업을 처리하는 기계가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의 기계 - 프로그래밍 과정의 결과물 - 1. 주어진 문제의 해결 방법과 절차를 찾는다 -> 알고리즘 - 2. 그것을 적절한 언어로 처리하기 컴퓨터의 장점 - 신속한 처리 - 처리 결과의 정확성: 항상 정확한 결과 생성 - 자동화 - 대용량 2. 컴퓨터 과학 컴퓨터과학이란 - .. 2023. 9. 17. [독서 기록] 개발자를 위한 글쓰기 가이드(유영경 지음, 로드북) 기술 문서의 특징 특정 독자를 대상으로 특정 목적을 갖고 특정 정보를 전달 어떤 작업을 수행하거나 어떤 주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만을 전달 - 15 p 제목에 요점을 담는다. - 62p 문장 하나에는 주제를 하나만 쓴다. - 65p 예문 : A 서버보다 B 서버에서 파일을 로딩하는 속도가 훨씬 빨랐다. 수정안: 파일을 로딩할 때 A 서버를 사용하면 1.5초, B 서버를 사용하면 0.9초가 걸렸다. - 68p 객관적인 수치나 근거를 제시해야 글의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 69p 예문: 화면 상단 우측 위에 위치해 이는 x 버튼을 클릭하면 창이 닫히는 것을 확인할 수 이습니다. 수정: 화면 오른쪽 위에 있는 x 버튼을 클릭하면 창이 닫힙니다. - 83p 대명사는 일반 명사로 바꾼다. 예문: .. 2023. 8. 20. [독서 기록] 기술문서 작성 완벽 가이드(자레드 바티 외 지음, 하성창 옮김, 한빛미디어) 하버드 대학의 한 경제학자 그룹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도 자신과 같은 지식을 갖고 있다고 가정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그들은 이 인지적 편향을 '지식의 저주'라고 명명했습니다. - 30p 지식의 저주를 기억하세요. 사용자는 여러분만큼 제품을 잘 알지 못하므로 제품과 관련하여 생각지도 못한 기초적인 질문을 할 수도 있습니다. - 35p 사용자 페르소나를 만들어 나갈 때는 사용자의 니즈를 고려해야 합니다. 누구에게 가장 도움이 필요한가요? 여러분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려고 할 때 누가 가장 가파른 학습 곡선을 경험하게 될까요? - 44p 사용자 스토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릅니다. '[사용자 유형]으로서, [목표]를 할 수 있도록 [행동]을 하고 싶다.' - 44p 개발자에게 가장 기본적인.. 2023. 8. 17. Spring에서 argumentResolver를 사용하여 인증 책임 분리하기 문제의식 다음과 같은 컨트롤러 메서드가 있다고 해보자. @PostMapping("/tasks") public ResponseEntity createTask(@RequestBody TaskCreateReq taskCreateReq, HttpSession session) { final Long userId = (Long) session.getAttribute(LOGIN_SESSION_KEY); if (userId == null) { throw new RuntimeException("bad request. no session."); } taskService.create(taskCreateReq, AuthUser.of(userId)); return ResponseEntity.ok().build(); } 위 코드.. 2023. 7. 23.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