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69

리눅스 시작과 종료, 운영체제 부팅, 초기화 데몬, 시스템 종료 운영체제의 부팅 부팅 과정 전원을 켜고 로그인 프롬프트가 나올 때 까지 과정 ROM BIOS의 펌웨어가 실행됨 BIOS 기반 x86 컴퓨터를 가정 하드에어 검사 후, 부트 로더를 적재 MRR에 있는 부트 로더가 실행됨 파티션 테이블을 조사하여 부팅 가능한 파티션을 찾음 리눅스의 부트로더인 GRUB를 찾아 적재함 GRUB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멀티부팅을 지원 커널 이미지와 initramfs를 로드 커널 이미지는 /boot/vmlinuz initramfs는 부팅 과정에서 필요한 임시 파일 시스템 커널이 실행됨 하드웨어를 점검하고 초기화함 메모리, 프로세서, 저장장치, 주변장치 등 디바이스를 찾고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로드함 루트(/)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고 검사함 커널은 /lib/systemd/systemd.. 2023. 11. 30.
리눅스 파일 시스템, 파일과 디렉터리, 리눅스 파일 내용 확인하기 파일 시스템 탐색 파일 시스템 운영체제가 디스크(파티션) 상에 파일들을 구성하는 방식 파일과 디렉터리의 집합을 구조적으로 관리하는 체계 다양한 형식의 파일 시스템이 존재 리눅스는 전체 파일 시스템을 1개의 트리 구조로 관리(1개의 루트 디렉터리만 있음) ls 명령 파일과 서브 디렉터리 목록을 나열하는 명령: 옵션에 따라 파일(또는 디렉터리)이 가지는 속성도 확인할 수 있음 ls [options] [names] ls directory: 디렉터리에 존재하는 파일과 서브 디렉터리의 정보를 출력 ls file: 해당 파일의 정보를 출력 $ ls . file1.txt file2.jpg directory1 directory2 $ ls -l date.txt -rw-r--r-- 1 user group 1024 Jan .. 2023. 11. 29.
리눅스 저장 장치 이름과 표준 디렉터리, 셸 사용하기, 셸 명령, 명령의 연결과 확장, 셸 변수, 리눅스 예상 문제 리눅스 저장 장치 이름과 표준 디렉터리 파티션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나눈 구역 파티션 별로 파일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음 윈도우에서는 각 파티션마다 각각의 드라이브로 지정 리눅스는 오직 1개의 루트 디렉터리만을 가짐 리눅스는 하드 디스크나 주변 장치를 파일로 취급함 장치 이름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하드 디스크 장치 또는 파티션 이름 IDE 디스크: 이름에 'hd'를 붙임 /dev/hda, /dev/hdb, ... SCSI 디스크: 이름에 'sd'를 붙임 /dev/sda, /dev/sdb, ... 물리적인 하드디스크가 추가될 때 알파벳 순서대로 함 파티션 번호는 숫자를 1부터 차례대로 붙임 /dev/hda1, /dev/hda2, ... CD 또는 DVD /dev/sr0, /dev.. 2023. 11. 29.
유닉스와 리눅스, UNIX 발전사, 오픈소스와 라이선스, 리눅스 배포판 유닉스와 리눅스 유닉스의 특징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을 지원하는 신뢰성 높은 운영체제 뛰어난 이식성, 강력한 네트워킹 기능, 셸 스크립트, 파이프라인, 명령행 기반 인터페이스, 단순하고 모듈화된 설계 유닉스와 리눅스 리눅스는 UNIX의 무료 공개 버전 초기에 리눅스는 PC용 운영체제로 개발되었음 유닉스는 유료 상용 운영체제로, 자유롭게 소스 코드를 보거나 수정하는 것이 제한적이다. 반면, 리눅스는 유닉스의 표준을 따르는 무료 공개 운영체제로 다양한 배포판이 있으며, 사용에 제약이 적다. 유닉스는 초기에 미니 컴퓨터 또는 고성능 워크스테이션을 타겟으로 개발된 반면, 리눅스는 사양이 낮은 PC용 운영체제로 시작되었다. UNIX 발전사 최초의 UNIX Multics: 1969년 assembly 언어로 작성된.. 2023. 11. 28.
리눅스 문제 풀이 - 버전 관리와 깃, 브랜치의 생성과 병합, 스태시와 버전 되돌리기 깃은 무엇인가? 버전 관리 시스템 프로그래밍 환경 프로그래밍 언어 공유 저장소 서버 정답: 1 깃의 파일 상태 중 '수정 전(unmodified)' 상태란? 파일이 생성되었지만 깃으로 관리하지 않는 파일의 상태 파일 수정 작업을 커밋한 이후에 파일이 수정되지 않은 상태 파일을 생성한 후 작성한 후 스테이지 영역에 올린 상태 파일을 수정하였지만 스테이지 영역에 올리지 않은 상태 정답: 2 파일이 생성되었지만 깃으로 관리하지 않는 파일의 상태: 이 상태는 일반적으로 'Untracked' 상태로 불린다. 이 상태의 파일은 깃 저장소에 추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깃의 추적 대상이 아니다. 파일 수정 작업을 커밋한 이후에 파일이 수정되지 않은 상태: 이 설명은 '수정 전(unmodified)' 상태를 정확히 설명한다.. 2023.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