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고

서른 살, 돈이 벌고 싶다가 개발이 하고 싶어진 이야기

by Renechoi 2023. 12. 29.

서른이 되는 시점에 돈을 벌고 싶어졌다. 

이전까지 나는 낭만에 살고 낭만에 죽던 사람이었다. 어느 정도였냐면 군 생활 하면서 전역하고 하고자 한 일이 (실제로 반정도 이루기도 했는데) 제주도 내려가서 자쿠지 설치하고 강아지와 놀고 먹는 거였다. 당시 가진 재산이라고는 200만원 + 중고 차 비용 정도였는데 나는 내 재산과 상관 없이 전역하면 매일 같이 그렇게 하고 있겠노라고 그 장면을 서스럼 없이 상상하곤 했다. 그러니까 그걸 바라기만 한 게 아니라 실제로 그렇게 되리라고 믿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N 중에서도 극악 N인데, 그냥 현실 자체가 개념이 딱히 없었던 것 같다.

 

대학생 때는 더 심했다. 주변 사람들은 취업 준비를 위해 아득바득 복수 전공이니 교직이수니 스펙이니 하는 시점에 나는 여행을 다녔다. 당시 내가 막연히 가졌던 생각은, 지금 전공 공부가 재밌으니까 대학원을 가야겠다(갈 수 있으면), 아니면 어디 해외 공동체 같은 데 가서 살아야겠다, 같은 막연한 상상에 가까운 무언가였다. 

그런 삶을 살았는데 서른이 되면서 돈을 벌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생활고나 용돈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제대로 큰 부자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어떤 현실감이라는 게 그 즈음 내게 주입이 되었던 것 같다. 시작은 카페 사업부터 였을 것이다. 꽤나 낭만적으로 카페, 커피, 책, 출판 그런 사업을 했다. 그때 돈이라는 게 필요한 거구나 라는 생각을 처음했다. 그게 내가 부자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의 시발점 정도는 될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촉발점은 따로 있었다. 

키우던 강아지가 아팠는데 한 달간 입원하고 수술하고 하면서 몇 백 정도가 들었다. 그게 좀 이야기하면 긴데, 어쨌든 돈 몇 푼 때문에 강아지가 아프게 됐고 그 돈을 충당하기 어려운 나 자신을 발견했고 그래서 내가 생각하는 행복이라는 것을 누리려면 돈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래서 시골로 들어갔다. 강원도의 산골이었는데 말 그대로 시골이었다. 20평 정도 되는 땅 냄새가 나는 그런 주택에서 강아지와 둘이 살았다. 오아시스에서 먹을 걸 시켰는데 오늘 시키면 모레 정도에 왔다. 어쨌든 배달은 되니까 먹고 사는 데는 지장은 없는 그런 곳이었다. 

왜 시골로 갔냐면, 오래 생각을 해본 결론이 내가 원하는 만큼 돈을 벌려면 코인이나 주식 밖에는 답이 없을 것 같았다. 그때는 그렇게 생각했다. 그런데 코인이랑 주식은 인터넷과 컴퓨터만 있으면 할 수 있었다. 그래서 돈 버는 일에만 몰두하려고 그런 환경을 만들고 싶었다. 목표는 30억이었다. 

코인을 좀 했다고 하면 다들 묻는 질문이 그래서 많이 벌었느냐이다. 나는 많이 벌기도 했는데 많이 잃기도 했다라고 답을 한다. 그러면 사람에 따라 다른데 이런 질문도 많이 받는다. 그래도 잃지는 않았지? 나 같은 경우는 애초에 시작한 돈이 천만원이 되지 않았다. 그냥 그 나이 먹고 진짜 그렇게 돈이 없었다. 그래서 잃을 래야 잃을 돈도 없었다. 어쨌든 그렇게 따지면 대성하긴 한 것 같다. 애초에 너무 없었으니까. 30억이면 내가 살고 싶은 삶을 살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다른 한편으로 보자면 그 정도는 있어야 원하는 삶을 살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러니까 10억 집짓고, 10억 넣어놓고 월 500 배당 받고, 나머지 10억으로 소소하게 단타나 치면서 하루에 100만원 정도만 버는 삶.

 

결론적으로는 목표에 한참 못미쳤지만 어느 정도 돈이 모이니까 그냥 저냥 괜찮은 것 같았다. 돈이 많으면 안정감 같은 게 생기는 걸 깨달았다. 그리고 돈으로 시간을 살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됐다. 일을 하지 않아도 돈이 나오는 게 좋다는 걸 그때 깨달았다. 

그런데 시골에 있으면서 황금같은 30대 초반, 그러니까 내 또래 애들이 커리어에 날개를 달기 시작하는 나이대, 대리, 과장, 팀장 진급해서 천 단위로 연봉을 올릴 때, 나는 직장 경험 1도 없이 그냥 시골 백수 생활을 했다. 그런 시골 생활이 성향적으로 나에게는 잘 맞기도 했는데 한 2년 즈음 되니까 스물스물 갈증의 유형이 조금 바뀌어갔다. 처음 산골짝에 들어갈 때 내가 미쳐있었던 것은 "돈"이었다. 오로지 어떻게든 돈을 얼마를 벌어야겠다는 생각 뿐이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는 뭔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누군가에게 나를 소개할 때, "코인 트레이더"라고 하는 건 너무 궁색 없어 보였다. 그래서 그냥 "투자자" 정도로 이야기했는데 그건 일종의 거짓말이기도 했고 그냥 누가봐도 거짓말 같아서 더 없어 보였다. 그래서 무언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 즈음... 워런 버핏의 그 말을 만났다. 

연례 행사에서 인플레이션 시대 최고 투자법이 무엇이냐는 소녀의 질문에 대한 워런 버핏의 답변이었다. 

 

"어느 분야든지 최고가 되는 것" 그것이 가장 큰 투자일 것이라고. 

나는 이 말에 충격을 받았다. 정말 큰 충격이었다. 그 동안 오로지 "돈", "부자", "몇 억" 이런 생각만 하던 내 뇌리를 진짜 고문하는 것 같은 말이었다. 당시 내가 코인으로 하던 매매는 순전히 기술적 분석에 기반한 매매였다. 그러니까 말 그대로 트레이딩. 차트 보면서 샀다 팔았다 하는 이 일로 전문성을 키울 수 있을까를 자문했다. 워런 버핏의 그 말은 나를 돈을 벌어야겠다는 집념에 미쳐있던 사람에서 전문성을 키우고 싶다는 열망에 사로잡힌 사람으로 이끌었다.  

물론 차트 트레이딩으로도 전문성을 키울 수 있었다. 당시 내가 해결하고 싶던 문제 중 하나는 어떤 매매법에 대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 알고리즘을 고도화하고 발전시켜서 시장에서 반드시 수익률을 내는 강력한 전략을 만들고 싶었었다. 2년 동안 매매하면서 파이썬을 배워서 트레이딩 하는 데 사용하고 있었다. 이른바 손매매의 한계를 느껴 자동화된 매매 전략을 추구했던 것이다. 그런데 시간과 손을 들여서 트레이딩을 할 때는 먹히는 어떤 전략, 즉 이론적으로 괜찮은 매매 아이디어가 있었는데 이것을 파이썬을 이용한 프로그래밍으로 실현하는 데에 애를 먹고 있었다. 지금처럼 이걸 계속하면 내가 전문가가 될까, 를 자문했다. 답은 아니었다. 생각을 해 보니 두 가지가 부족했다. 첫 번째는 기술적 분석에 있어서의 보다 폭넓은 지식 + 퀀트적인 지식이었고 두 번째는 파이썬 코딩 능력이었다.

 

그래서 금융 대학원을 가려고 했다. 그런데 한 번 그쪽으로 눈이 트이기 시작하니 다른 옵션들이 보였다. 그 중에 하나는 인공지능 대학원에 가는 거였다. 왜냐하면 내가 풀고 싶은 그 시장을 이기는 알고리즘이 사실은 인공지능을 사용해야 될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막상 인공지능을 배우려고 하니 수학적인 베이스가 너무 없었다. 그래서 고등학교 수학을 공부했다. 

그런데 또 가만히 보니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게 그게 맞나란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어느 시점부터는 매매 자체가 스트레스가 되어서 (스트레스가 정말 어마어마하다) 프로그래밍에 더 재미를 느끼고 있던 나 자신을 발견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때 마침 동생의 일을 도와서 간단한 자동화 프로그램을 몇 개 만들 기회가 있었다. 그게 터닝 포인트가 아니었나 싶다. 해보니까 프로그래밍을 하는 게 차트 보면서 매매하는 거보다 재밌었다. 

그렇게 하여 마침내 내가 전문성으로 선택할만한 분야가 개발 쪽이라는 것을 확신하게 됐다. 그 시점이 2022년 여름, 가을이다. 가장 먼저 한 일은 sqld를 공부한 일이었다. 찾아보니깐 비전공자가 개발자가 되려면 꼭 필요한 자격증이 두 가지가 있는데 그게 sqld랑 정보처리기사라는 것이었다. 그 시점에 해볼만한 가장 빠른 시험이 sqld여서 sqld를 공부했고 취득했다. 

 

그리고 또 찾아 보니 프로젝트를 해야한다고 했다. 그런데 프로젝트를 혼자 할 수는 없지 않나. 그래서 학원을 알아보았다. 

 


 

이 뒷 이야기는 아래 글에서 이어진다. 

 

 

33살 문과 비전공자 국비지원 개발자 신입 취업 후기

Intro 33살 비전공자가 자바 국비 웹개발자 과정을 수료하고 취업한 이야기입니다. *** TMI 주의 왜? 문과생 출신의 비전공자가 왜 갑자기 개발자가 되고 싶었을까? 이 왜를 답하려면 나에 대한 TMI가

upcurvewav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