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자료구조

자료구조, 추상화의 개념,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알고리즘의 개념과 조건 및 성능

by Renechoi 2023. 11. 18.

1. 자료와 정보

자료의 가공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데이터는 원시적인 형태로 존재한다. 이를 통해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가공 과정이 필요하다.

  • 데이터 생성 및 수집: 데이터는 센서, SNS, UCC 등을 통해 대량으로 생성됨.
    • 예시: 센서가 0.1초마다 온도를 측정하여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생성.
  • 전처리 과정: 노이즈 제거, 필요 없는 값 삭제, 필요 데이터 보완 등의 과정이 필요.
    • 예시: 머신러닝이나 딥러닝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
  • 데이터의 상업적 가치: 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통해 상업적 이득을 얻을 수 있음.
    • 예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맞춤형 광고나 제품 개발.

자료의 정의

  • 자료(데이터):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값이나 사실.
    • 예시: 온도, 위치, 사용자 행동 데이터 등.
  • 정보: 자료를 처리하여 얻어진 유용한 형태.
    • 예시: 온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후 변화 추세 파악.
  • 데이터와 정보의 변환 과정: 자료를 입력받아 처리함으로써 정보를 얻음. 이 과정은 데이터의 가공 및 분석을 포함.
    • 예시: SNS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나 트렌드 예측.
  • 자료 구조의 중요성: 효율적인 자료 구조 선택과 관리는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임.
    • 예시: 적절한 자료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터 검색 및 처리 시간 최적화.

2. 추상화의 개념

추상화

추상화는 복잡한 현실을 단순화하여 핵심적인 요소만을 강조하는 과정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추상화는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핵심 요소를 분리하여 간결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관리하기 쉽게 만들며,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추상화의 핵심은 '세부 사항을 숨기고' 중요한 정보만을 강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운전할 때 모든 기계적 세부 사항을 알 필요는 없으며, 운전에 필요한 핵심 조작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정의: 복잡한 자료를 간단하게 표현하는 과정. 핵심적인 정보만을 강조하면서 복잡성을 줄임.
  • 목적: 효율적인 문제 해결과 이해 증진.

자료의 추상화

자료의 추상화는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조작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과정이. 이는 데이터를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들과의 의존성을 줄이고, 유지보수와 확장성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서 학생의 성적을 관리하는 경우, 성적 자체를 숫자로만 처리할 것이 아니라 '성적'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연산(평균 계산, 등급 부여 등)을 추상화하여 구현할 수 있다.

자료 추상화는 데이터의 구체적인 표현을 숨기고, 데이터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예: 메소드, 함수)만을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래머가 복잡한 내부 구현에 신경 쓰지 않고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한다. 이 방식은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매우 중요하며,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이러한 개념이 클래스와 객체를 통해 구현된다.

  • 개념: 자료를 단순화하여 가장 중요한 특성만을 나타내는 방법.
  • 예시: '학생' 자료를 '학번', '이름', '전공'으로 추상화.
  • 중요성:
    • 간결성: 복잡한 자료를 핵심적인 속성으로 간단하게 표현.
    • 재사용성: 추상화된 자료는 다양한 상황에서 재사용 가능.
    • 유지 보수: 시스템의 변경이 용이하고, 오류 발견 및 수정이 간편.

추상화의 예시

  1. 학생 자료 추상화:
    • 원본 자료: 학생의 전체 정보 (이름, 학번, 주소, 성적, 전화번호 등).
    • 추상화된 자료: 핵심적인 정보 (이름, 학번, 전공).
  2.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추상화:
    • 테이블 구조를 간소화하여 핵심 데이터만을 포함시키는 과정.
  3. 함수 추상화:
    • 복잡한 로직을 간단한 함수 호출로 대체. 예: calculateGrade(성적) 함수는 내부 로직을 숨기고 결과만을 제공.

실무 적용 사례

  • 소프트웨어 개발: 각 모듈이나 컴포넌트는 복잡한 내부 로직을 숨기고 필요한 인터페이스만을 노출.
  • API 디자인: 내부 시스템의 복잡성을 숨기고 사용자에게 간단한 사용 방법 제공.

3.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자료구조

자료구조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방법을 말한다.

데이터의 특성과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 배열(Array): 데이터를 일련의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에 순차적으로 저장합.
  • 연결 리스트(Linked List): 데이터 각각이 포인터를 통해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집.
  • 스택(Stack)과 큐(Queue): 특정 규칙(후입선출, 선입선출)에 따라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제거합.
  • 트리(Tree)와 그래프(Graph): 계층적 또는 네트워크 형태의 복잡한 관계를 나타냅.

알고리즘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체계적으로 나열한 것을 의미한다.

효율적인 알고리즘은 자원을 적게 사용하고, 빠른 시간 내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 정렬(Sorting): 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
  • 탐색(Searching): 특정 데이터를 찾기 위한 방법론을 제공.
  • 재귀(Recursion)와 반복(Itera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의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관계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효율적인 알고리즘 구현을 위해서는 적절한 자료구조의 선택이 필수적이며, 반대로 자료구조는 알고리즘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 예: 빠른 검색을 위해 해시 테이블(Hash Table)을 사용하거나, 계층적 데이터 처리를 위해 트리(Tree) 구조를 활용.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추상화/구체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추상화된 개념으로 시작해 구체적인 구현으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프로그래밍 언어와 컴퓨터 아키텍처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추상화와 추상 자료형

추상 자료형(ADT)은 데이터의 타입과 그 타입에 대한 연산을 추상적으로 정의한다.

 

ADT는 데이터의 실제 구현을 숨기고 사용자에게는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하여, 데이터 구조의 사용과 구현을 분리한다.

 

예를 들어, 큐(queue)는 '선입선출(FIFO)'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가지지만, 배열이나 연결 리스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 추상 자료형(Abstract Data Type, ADT): 자료형의 수학적 모델을 정의하며, 이는 구현 세부 사항을 추상화.
  • 구현: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추상 자료형을 구체적인 자료구조로 전환.

4. 알고리즘의 개념과 조건

알고리즘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어들을 체계적으로 나열한 것이다.

알고리즘과 프로그램

알고리즘과 프로그램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절차와 방법을 정의하는 반면, 프로그램은 이러한 알고리즘을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한 것. 알고리즘은 언어 독립적인 개념으로, 효과적인 알고리즘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될 수 있다.

알고리즘의 조건

알고리즘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 충족해야 하는 기본적인 조건들

 

1. 정확성(Correctness): 알고리즘은 정확한 결과를 제공해야 한다. 모든 가능한 입력에 대해 예상된 결과를 생성해야 함을 의미한다.

 

2. 효율성(Efficiency): 알고리즘은 자원(시간, 메모리 등)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최대의 성능을 발휘해야 한다.

 

3. 명확성(Clearness): 알고리즘은 이해하기 쉽고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알고리즘은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방해할 수 있다.

 

4. 입력(Input): 알고리즘은 하나 이상의 입력을 가질 수 있다. 이 입력은 알고리즘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5. 출력(Output): 알고리즘은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생성해야 한다. 이 출력은 처리된 결과를 나타낸다.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 같은 개념들이 사용된다. 시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공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사용하는 메모리 양을 나타낸다.

5. 알고리즘의 성능

알고리즘의 실행시간 분석

알고리즘의 실행시간 분석은 주로 "빅 오 표기법(Big O Notation)"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빅 오 표기법은 알고리즘의 성능을 입력 데이터의 크기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어떤 알고리즘이 (O(n))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면, 입력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해서 실행 시간이 증가한다는 의미이다.

알고리즘의 실행메모리 분석

알고리즘의 실행 메모리도 중요한 측면이다. 메모리 사용량이 많으면 프로그램이 더 느려질 수 있다.

알고리즘의 성능 측정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이론적인 분석은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를 계산하여 성능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또한 실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행 시간을 측정하고 메모리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도 있다.

 

 


 

참고 자료: 자료구조 (강태원, 정광식 공저, KNOU press 출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