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자료구조

방송통신대학교 자료구조 기말 시험 대비 예상 문제 - OX 유형

by Renechoi 2023. 12. 2.

1. 자료구조란 현실 세계의 자료를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한 것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자료구조는 현실 세계의 자료를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구조화한 것으로, 자료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컴퓨터나 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위한 추상화 과정을 포함한다.

2. 알고리즘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지 않는 명령어들의 유한 집합이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알고리즘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기 위한 명령어들의 유한 집합이며, 이는 사람의 머릿속에 추상화되어 존재한다.

3. 배열의 인덱스 값은 배열의 원소 값에 직접 접근하는 데 사용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배열에서는 인덱스 값을 이용해 원소 값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이를 직접 접근(direct access)이라 한다.

4. 스택은 선입 후출(First-In-Last-Out : FILO) 알고리즘을 갖는 자료구조이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스택은 선입 선출(First-In-First-Out : FIFO) 알고리즘이 아닌 후입 선출(Last-In-First-Out : LIFO) 알고리즘을 갖는 자료구조이다.

5. 큐는 선입 선출(First-In-First-Out : FIFO) 알고리즘을 갖는 순서 리스트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큐는 선입 선출(First-In-First-Out : FIFO) 알고리즘을 갖는 자료구조로, 원소의 삽입과 삭제가 각각 큐의 다른 끝에서 일어난다.

6. 연결 리스트에서는 포인터를 이용해 원소 간의 논리적인 순서를 표현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연결 리스트에서는 포인터를 사용하여 원소 간의 논리적인 순서를 표현하며, 각 원소는 노드(node)라고 불리는 구조체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7. 2차원 배열의 행우선 저장방식은 하나의 열이 모두 연속적으로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는 방식이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2차원 배열의 행우선 저장방식은 하나의 행이 모두 연속적으로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는 방식이며, 열우선 저장방식이 하나의 열이 연속적으로 메모리를 할당받는 방식이다.

8. 스택의 Pop 연산은 스택이 비어있지 않을 때만 수행할 수 있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Pop 연산은 스택에서 원소를 삭제하고 반환하는

연산으로, 스택이 비어있지 않을 때 수행된다. 스택이 비어있으면 'stackEmpty' 메시지를 출력한다.

9. 배열을 이용한 리스트의 구현은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상황에서 권장된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배열을 이용한 리스트 구현은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상황에서 비효율적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포인터를 이용한 연결 리스트 구현이 권장된다.

10. 단순 연결 리스트에서는 모든 노드가 원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어떤 노드에서도 다른 어떤 노드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단순 연결 리스트에서는 각 노드가 오직 후행 노드만을 가리키며, 원형 연결 리스트에서는 모든 노드가 원형으로 연결되어 어떤 노드에서도 다른 어떤 노드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11. 정보는 자료의 유효한 해설이나 자료 상호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내용이며, 상황에 대한 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지식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정보는 자료의 해설이나 관계를 통해 얻어지며, 특정 상황에 대한 의사결정을 돕는 지식을 제공한다.

12. 추상화는 자료의 논리적 관계를 구조화하는 과정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추상화 과정은 자료의 논리적 관계를 구조화하여 자료구조를 형성하는 데 필요하다.

13. 미리 정의된 자료구조는 프로그램 개발자가 프로그래밍 언어로 새롭게 정의하여 사용하는 자료구조이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미리 정의된 자료구조는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자에 의해 정의되며, 사용자 정의 자료구조가 프로그램 개발자에 의해 새롭게 정의되어 사용된다.

14.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은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걸리는 실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은 필요한 시간과 공간을 추정하는 것이며, 실제 시간 측정은 성능 측정에 해당한다.

15. 배열에서는 인덱스의 물리적인 위치가 배열의 원소값의 물리적인 순서와 일치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배열에서는 인덱스의 물리적인 위치가 원소값의 물리적인 순서와 일치하며, 이를 통해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

16. 스택에서 Stack Push 연산은 스택이 가득 찼을 때도 수행할 수 있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Stack Push 연산은 스택에 새로운 원소를 삽입하는 연산으로, 스택이 가득 찼을 때는 수행할 수 없다.

17. 큐에서는 원소의 삭제 연산이 이루어지는 곳을 앞(front)이라 하고 삽입 연산이 이루어지는 끝을 뒤(rear)라고 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큐에서는 삭제 연산이 앞(front)에서, 삽입 연산이 뒤(rear)에서 이루어진다.

18. 원형큐는 파이프의 입구와 출구 부분을 연결시킨 형태로, 나머지 연산자를 사용하여 데이터 공간을 연속적으로 사용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원형큐는 연결된 형태로, 나머지 연산자를 활용하여 데이터 공간을 연속적으로 사용한다.

19. 단

순 연결 리스트에서는 각 노드가 선행 노드와 후행 노드 모두를 가리킨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단순 연결 리스트에서는 각 노드가 오직 후행 노드만을 가리키며, 선행 노드에 대한 접근은 헤드 노드부터 재검색해야 한다.

20. 이중 연결 리스트는 각 노드가 선행 노드와 후행 노드를 가리키는 링크 부분을 가진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이중 연결 리스트는 각 노드가 선행 노드와 후행 노드를 가리키는 링크를 포함한다, 이는 단순 연결 리스트와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다.

21. 연결 리스트에서 노드의 링크 부분은 다음 노드의 메모리 주소값을 저장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연결 리스트에서 노드의 링크 부분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값을 저장한다. 이를 통해 리스트의 다음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

22. 2차원 배열의 열우선 저장방식은 하나의 열이 모두 연속적으로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는 방식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2차원 배열의 열우선 저장방식은 하나의 열이 연속적으로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는 방식으로, 이는 행우선 저장방식과 반대이다.

23. 스택에서 Stack Push 연산은 스택이 가득 차 있으면 수행할 수 있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Stack Push 연산은 스택이 가득 찼을 때 수행할 수 없다. 이 경우 'stackFull' 메시지를 출력한다.

24. 큐의 추상 자료형에서 정의된 연산은 시스템 개발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구현될 수 있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큐의 추상 자료형에서 정의된 연산은 개발 환경이나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구현될 수 있다.

25. 배열을 이용한 리스트의 구현은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 권장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배열을 이용한 리스트 구현은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드물 때 효율적이다. 자주 발생하는 삽입과 삭제는 연결 리스트 구현을 권장한다.

26. 알고리즘의 성능 측정은 알고리즘이 실행되는데 필요한 실제 시간과 공간을 추정하는 것이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알고리즘의 성능 측정은 실제 실행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고, 성능 분석은 시간과 공간을 추정하는 것이다.

27. 연결 리스트의 순서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물리적 위치가 아닌 논리적 순서를 의미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연결 리스트에서 순서는 물리적 위치가 아닌 노드들 사이의 논리적인 연결 관계를 의미한다.

28. 단순 연결 리스트에서는 모든 노드가 후행 노드만을 가리키며, 선행 노드에 대

한 접근은 헤드 노드부터 재검색해야 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단순 연결 리스트에서 각 노드는 후행 노드만을 가리키며, 선행 노드로의 직접적인 접근은 없다.

29. 추상화는 자료의 논리적 관계를 단순화하는 과정이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추상화는 자료의 논리적 관계를 구조화하는 과정으로, 단순화가 아닌 복잡한 자료구조를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30. 원형큐는 파이프의 입구와 출구 부분을 연결시킨 형태로, 데이터 공간을 연속적으로 사용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원형큐는 입구와 출구가 연결된 형태로, 데이터 공간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큐의 공간 효율성을 높인다.

31. 트리는 정점 집합 V와 간선 집합 E로 구성된 그래프의 일종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트리는 정점 집합 V와 간선 집합 E로 구성된 그래프의 한 종류로, 계층적 관계를 나타내는 자료구조이다.

32. 트리에서 모든 노드는 두 개 이상의 부모 노드를 가질 수 있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트리에서 각 노드는 하나의 부모 노드만 가질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부모 노드를 가지는 경우는 트리의 정의에 어긋난다.

33. 이진 트리에서 모든 노드의 차수는 최대 2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이진 트리에서 각 노드의 차수는 최대 2로, 각 노드는 최대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다.

34. 스레드 트리에서 모든 잎 노드는 두 개의 스레드를 갖는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스레드 트리에서 잎 노드는 자식 노드가 없기 때문에 두 개의 스레드를 갖는다. 이 스레드들은 순회 순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35. 힙은 우선순위 큐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료구조 중 하나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힙은 우선순위 큐의 구현을 위한 자료구조로, 완전 이진 트리의 형태를 가진다. 최대힙과 최소힙은 힙의 두 가지 주요 형태이다.

36. B트리는 모든 잎 노드가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B트리는 모든 잎 노드가 동일한 깊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B트리의 균형 잡힌 특성 때문이다.

37. 무방향 그래프에서 각 간선은 두 정점 사이의 양방향 관계를 나타낸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무방향 그래프에서 각 간선은 두 정점 사이의 양방향 관계를 나타내며, 간선의 방향성은 고려되지 않는다.

38. 깊이 우선 탐색은 먼저 형제 노드를 방문하고 그 후에 자손 노드를 방문한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깊이 우선 탐색은 먼저 자손 노드를 방문하고, 그 후에 형제 노드를 방문한다. 이 탐색 방법은 먼저 깊게 들어가며 탐색을 진행한다.

39. 가중 그래프에서는 각 간선이 특정한 가중치 값을 가진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가중 그래프에서 간선은 중요도, 비용 등을 나타내는 가중치 값을 갖으며, 이는 그래프에서의 경로나 네트워크 최적화 문제에 사용된다.

40. 최소 비용 신장 트리에서는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포함하며, 사이클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 그래프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최소 비용 신장 트리는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포함하면서 사이클이 없는 부분 그래프로, 간선의 가중치 합이 최소가 되는 특성을 갖는다.

41. 트리에서 루트 노드는 부모를 갖지 않는 유일한 노드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트리에서 루트 노드는 부모가 없는 유일한 노드이며, 이는 트리의 가장 상위에 위치한다.

42. 이진 트리에서 각 레벨은 허용된 최대 노드 수보다 많을 수 있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이진 트리에서 각 레벨의 노드 수는 해당 레벨의 허용된 최대 노드 수를 초과할 수 없다. 이는 이진 트리의 정의와 구조에 따른 것이다.

43. 스레드 트리에서 모든 노드는 두 개의 스레드를 가진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스레드 트리에서는 잎 노드만 두 개의 스레드를 가지며, 내부 노드는 스레드를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44. 모든 힙은 이진 트리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힙은 기본적으로 완전 이진 트리의 형태를 갖는 자료구조로, 우선순위 큐의 구현에 사용된다.

45. 선택 트리는 합병 정렬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선택 트리는 합병 정렬 과정에서 다수의 정렬된 데이터 리스트를 하나의 리스트로 합병하는 데 사용된다.

46. B+트리에서 모든 노드는 같은 레벨에 위치한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B+트리에서는 모든 잎 노드가 같은 레벨에 위치하지만, 내부 노드는 다른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47. 2-3-4 트리는 모든 노드가 2, 3, 또는 4개의 자식을 가질 수 있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2-3-4 트리는 각 노드가 최대 4개의 자식을 가질 수 있는 자료구조로, 2-노드, 3-노드, 4-노드로 구성된다.

48. 가중 그래프에서 모든 간선은 동일한 가중치 값을 갖는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가중 그래프에서 간선은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그래프의 경로나 최적화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49. 너비 우선 탐색은 먼저 자손 노드를 방문하고 그 후에 형제 노드를 방문한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너비 우선 탐색은 먼저 모든 형제 노드를 방문한 후 자손 노드를 방문하는 방식으로 진행

된다.

50. 크루스컬 알고리즘은 가중치가 가장 큰 간선부터 선택하여 신장 트리를 구성한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크루스컬 알고리즘은 가중치가 가장 작은 간선부터 선택하여 사이클을 형성하지 않는 한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성한다.

51. 이진 탐색 트리에서는 모든 노드가 왼쪽 자식 노드보다 크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이진 탐색 트리에서는 각 노드가 자신의 왼쪽 자식 노드보다 크지 않고, 오히려 작아야 한다.

52. AVL 트리는 모든 노드의 두 서브트리 높이 차이가 최대 2 이하이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AVL 트리는 높이 균형이 잡힌 이진 탐색 트리로, 모든 노드에서 왼쪽과 오른쪽 서브트리의 높이 차이가 최대 1 이하이다.

53. B트리에서 루트 노드는 최소 두 개의 서브트리를 갖는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B트리에서 루트 노드는 최소 두 개의 서브트리를 가져야 하며, 이는 B트리의 정의와 구조적 특성에 따른 것이다.

54. 가중치가 최소인 간선을 선택하여 신장 트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은 프림 알고리즘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프림 알고리즘은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만드는 알고리즘으로, 각 단계에서 가중치가 최소인 간선을 선택하여 신장 트리를 구성한다.

55. 2-3-4 트리는 모든 노드가 최대 2개의 자식을 가진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2-3-4 트리는 각 노드가 최대 4개의 자식을 가질 수 있는 다중 방식 탐색 트리이다.

56. 이진 트리에서 중위 순회는 먼저 왼쪽 자식을 방문한 다음 노드를 방문하고, 마지막으로 오른쪽 자식을 방문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중위 순회는 노드를 방문하는 순서가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순서로 진행되며, 이 방식은 이진 트리에서 널리 사용된다.

57. 무방향 그래프에서 모든 간선은 한 방향으로만 연결된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무방향 그래프에서 간선은 양방향 연결을 나타내므로, 한 방향으로만 연결되는 것은 무방향 그래프의 정의에 어긋난다.

58. B+트리에서 모든 키는 잎 노드에만 존재한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B+트리는 모든 키 값을 잎 노드에 저장하며, 이 구조는 인덱스된 순차 파일 구성에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59. 깊이 우선 탐색(DFS)은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가장 먼저 방문한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깊이 우선 탐색은 한 정점에서 시작하여 가능한 깊숙이 탐색을 진행한 후 다시 되돌아와 미방문 정점을 차례로 방문하는 방식을 취한다.

60. 스레드 트리에서 잎 노드는 항상 두 개의 스레드를 갖는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스레드 트리에서 잎 노드는 자식 노드가 없으므로, 순회 순서를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스레드를 갖는다.

61. 그래프에서 루프는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간선이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그래프에서 루프는 시작점과 끝점이 동일한 간선으로 정의된다.

62. 너비 우선 탐색에서는 깊이 우선 탐색보다 더 빨리 모든 노드를 방문한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너비 우선 탐색과 깊이 우선 탐색은 탐색 순서가 다를 뿐, 특정 방식이 다른 방식보다 항상 더 빠르게 모든 노드를 방문한다고 말할 수 없다.

63. 이진 탐색 트리에서는 모든 노드가 오른쪽 자식 노드보다 작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이진 탐색 트리에서는 모든 노드가 자신의 오른쪽 자식 노드보다 크거나 같다.

64. 선택 트리는 패자 트리와 같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선택 트리에는 승자 트리와 패자 트리 두 종류가 있으며, 이들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65. B트리에서 모든 잎 노드는 동일한 깊이에 있다.

① O
② X

정답: 1
해설: B트리의 특징 중 하나는 모든 잎 노드가 동일한 깊이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66. 무방향 그래프에서 간선의 방향은 중요하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무방향 그래프에서는 간선의 방향성이 고려되지 않는다.

67. 가중치가 최소인 간선을 선택하여 신장 트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은 솔린 알고리즘이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솔린 알고리즘은 가중치가 최소인 간선을 선택하여 신장 트리를 구성하는 방법이 아니라, 다수의 간선을 동시에 선택하는 방법이다.

68. AVL 트리는 노드의 왼쪽과 오른쪽 서브트리 높이 차이가 최대 2 이하이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AVL 트리는 노드의 왼쪽과 오른쪽 서브트리 높이 차이가 최대 1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69. 프림 알고리즘은 가중치가 가장 큰 간선부터 선택하여 신장 트리를 구성한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프림 알고리즘은 가중치가 가장 작은 간선부터 선택하여 신장 트리를 구성한다.

  1. B+트리에서는 모든 키 값이 내부 노드에만 존재한다.
    ① O
    ② X

정답: 2
해설: B+트리에서는 모든 키 값이 잎 노드에 존재하며, 내부 노드는 키 값의 인덱스 역할을 한다.

반응형